홍순영 전 외교통상장관은 13일 "북한은 이제 핵 프로그램을 추진할 것인지 아니면 경제개발을 선택할 것인지 여부를 양자택일할 상황에 직면해 있다"고 밝혔다. 홍 전 외교통상장관은 이날 워싱턴 소재 미국기업연구소(AEI) 회의실에서 `북한과의 평화적 해결'을 주제로 열린 세미나 오찬 연설에서 "북한은 이제 핵프로그램을계속 추진하면 고립봉쇄될 것"이라면서 "지난 1994년 핵위기와 2004년 북핵문제의차이점은 무엇보다 중국이 북한의 핵프로그램을 심각하게 반대하고 있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홍 전 장관은 "중국은 특히 북한이 지역내 핵군비경쟁을 촉발할지도 모른다고 우려하고 있다"면서 중국의 대북 영향력을 감안할 때 "한국과 미국은 중국측과긴밀하고 일관된 협력관계 유지가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홍 전 장관은 북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베이징 6자회담도 중요하지만 이보다는 오히려 미국과 북한간 양자대화에 주목코자 한다면서 북핵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2대 덕목으로 "인내와 모든 우발적 사태에 대한 철저한 대비"를 제시했다. 그는 "한국의 햇볕정책은 현재 탄력을 잃었으며 국내외로부터의 지지도 퇴조하고 있다"면서 "솔직히 말해 한국은 현재 북한에 대해 그다지 많은 영향력을 갖고 있지 못하다"고 말했다. 홍 전 장관은 "한국의 햇볕정책은 북한을 개방으로 유도, 시장경제로 전환토록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며 "북한의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미국으로부터의 햇볕정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홍 전 장관은 북핵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총체적이고 포괄적인 해결"이 요구된다면서 과거 미국과 옛 소련간의 군비축소 회담이 이에 대한 역사적인 실례가 될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홍 전 장관은 "그러나 햇볕정책의 강화 및 그 원천에 상관없이 북핵 폐기를 위한 근본적인 결정은 평양 내부, 다시말해 평양 지도부에 의해 단행돼야 한다"면서특히 북한정권의 "모험적 예견 불가능"에 대한 우려를 제기, 바로 그같은 우려때문에 북핵문제의 외교적 평화해결이 더욱 강조된다고 지적했다. 홍 전 장관은 통일한반도에 언급, "통일한국은 자유민주주의 가치와 시장경제원칙이 지배하는 나라가 될 것"이라면서 "통일한국은 비핵지대로 더 이상 지역내 화약고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워싱턴=연합뉴스) 김성수 특파원 ss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