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과 민주당, 열린우리당은오는 16일부터 나흘간 진행되는 임시국회 대정부질문이 4.15 총선을 앞두고 정국 주도권 다툼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고 쟁점 제기와 방어 전략에 부심하고 있다. 한나라당과 민주당은 참여정부의 미숙한 국정운영과 `총선 올인' 전략을 비판하는 동시에 `민경찬 653억 모금 의혹', `굿머니 30억 제공설' 등 노무현(盧武鉉) 대통령 관련 비리의혹을 집중 부각시켜 국정조사와 특검제 추진의 공감대를 확산시켜면서 `반노세력' 결집을 도모하겠다는 전략이다. 반면 열린우리당은 실업해소, 산업공동화 대책 등 정책대안을 제시하며 책임있는 여당의 면모를 국민에 각인시키는 한편 `서청원 석방안' 가결 등에서 나타난 한-민공조의 부당성을 지적, 총선정국을 `개혁 대(對) 반개혁'의 대결구도로 이끌겠다는 구상이다. ◇한나라당 = 17대 총선을 앞둔 마지막 대정부질문인만큼 국정감사 수준의 고강도 추궁을 벼르고 있다. 노무현 정부의 총선 `올인전략', 경제 실패, 안보불안을 큰줄기로 대선자금 편파수사, `민경찬펀드', 주한미군 재배치, 자주외교.국방론 등 세부 현안을 낱낱이 들춰내겠다는 각오다. 이를 위해 한나라당은 지난주 대정부질문 대책회의를 갖고 중점 질의 항목을 선정해 질문자별 역할 분담을 마쳤다. 특히 대선자금 수사의 편파성을 강조하는 동시에 노 대통령의 사돈 민경찬씨의653억 모금의혹에 대한 청와대와 금감원, 경찰의 `꿰맞추기' 가능성을 집중 추궁,향후 국정조사및 특검 실시를 위한 발판을 다질 계획이다. 국민생활과 직결된 민생.경제 분야는 짜임새있는 추궁이 계획됐다. 이한구(李漢久) 의원의 참여정부 경제정책 기조 전반에 대한 비판에 이어 이재창(李在昌), 신현태(申鉉泰), 김정부(金政夫) 의원이 각각 신용카드 부실대책, 기업환경 악화, 조세.금융정책 부실 등을 세부적으로 짚은 뒤 김황식(金晃植) 의원이 구체적인 사례를 총망라해 마무리하는 형식으로 경제정책 실종에 경종을 울릴 예정이다. 그러면서 국정운영 및 경제 부실을 야기한 책임을 물어 김진표(金振杓) 전 경제부총리, 유인태(柳寅泰) 전 청와대 정무수석 등의 총선행보에 타격을 가한다는 방침이다. ◇민주당 = 국회 법사위 청문회에서 얻은 `성과'라고 자평하는 `굿머니'의 30억대선자금 제공설과 문병욱 썬앤문 회장의 감세청탁 등 노 대통령 관련비리 의혹에초점을 맞추기로 했다. 또한 민경찬씨의 653억 펀드 조성 의혹에 대한 경찰수사 결과가 민씨의 `허풍'으로 처리된 것에 대한 문제점도 집중 제기하기로 했다. 민주당은 민씨에 대한 수사를 처음부터 검찰이 아닌, 청와대 민정수석실의 수사지시를 받고 있는 경찰청 특수수사과가 맡게됐기 때문에 언론인터뷰 등 각종 정황증거에도 불구하고 개인비리 수준으로 축소되는 결과를 낳았다며 국정조사실시를 촉구하고 특검 도입도 함께 촉구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민주당은 총선을 앞둔 개각과 청와대 보좌진 개편이 노 대통령의 총선 `올인 전략'의 일환이라고 주장하며, 당 차원에서 탄핵에 대한 법률검토에 들어갔음을 다시 한번 상기하는 등 대여 압박의 강도를 높인다는 전략이다. 통일외교안보분야 질문에선 이라크 추가파병안 통과에 따른 이라크 주둔군 안전대책을, 경제분야에서는 조류독감과 한-칠레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른 농촌지원 대책 등 민생현안에 대한 정부 대책을 추궁하기로 했다. ◇우리당 = 한나라당과 민주당의 공세에 직접 대응하기 보다는 정책대안을 제시하는 등 책임있는 여당으로서의 면모를 부각하는데 초점을 맞출 계획이다. 대정부질문자가 야당에 비해 턱없이 적은 상황에서 힘겹게 맞서는 소모전보다이같은 차별화 전략을 구사하는 게 총선전략에도 유리하다는 판단에서다. 특히 경제분야 질문에서는 지난 1월 개혁지도부 출범이후 계속했던 민생투어를통해 얻은 국민의 생생한 목소리를 가감없이 전달한 뒤 실업문제 해결과 산업공동화해소방안 등 경제활성화 대책을 제시할 방침이다. 또 사회문화 분야에서는 서민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한 각종 복지정책을 발표하는 한편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민생치안 문제에 대한 해법을 제시할 것으로알려졌다. 다만 정치분야 질문의 경우 한나라당과 민주당이 공조, 국회 정개특위에서 선관위 권한을 축소하고 지역구 의원을 늘리는 안을 표결처리하려 했던 것과 서청원(徐淸源) 의원 석방결의안을 통과시킨 것 등을 예시하며 한.민 양당을 반개혁세력으로몰아붙이며 국회의원 불체포특권 제한 등 `정치개혁 공세'에 나설 방침이다. (서울=연합뉴스) 강영두 고일환 민영규기자 k0279@yna.co.kr koman@yna.co.kr youngkyu@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