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고령화의 급속한 진행으로 오는 2037년부터 국내총자산(실물자산+금융자산)이 줄어들기 시작하고 2047년에는 국민연금 재정이 완전 고갈될 것으로 추정됐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15일 지난해부터 2년간 국책연구 과제로 시행 중인 '인구구조 고령화의 경제적 영향과 대응과제'의 첫 해 연구 결과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히고,고령화 속도를 둔화시키기 위해서는 출산장려금과 육아보조금 같은 직접적인 정책보다는 교육비 경감과 주택가격 안정책 등 생활안정 지원방식이 훨씬 효과적이라고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저출산(2002년 여성 1인당 출산아 수는 1.17명)으로 국민 1인당 조세 부담률이 2010년부터 가파르게 증가하고 2020년에는 생산가능 인구(만 15∼64세)가 노년층(만 65세 이상) 인구를 먹여 살리기 위해 져야 하는 부담이 2000년보다 두 배 가까이 높아질 것으로 분석됐다. 아울러 2020년을 전후해 저축률과 1인당 국내총생산(GDP)도 본격적으로 둔화되기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경수 KDI 연구위원은 "외국의 경우 이민 유입과 출산장려금,육아보조금 등의 인구정책은 효과가 없었다"며 "육아비용을 줄이는 주택가격 안정 및 사교육비 경감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금융시장에서는 고령화 초기에는 자산을 축적하는 청·장년층이 자산을 소비하는 노령층 비중을 압도,자산스톡이 증가하지만 2037년부터는 총자산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사회 전체적으로 자산총액이 줄어든다는 것은 그만큼 생활이 불안정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총자산 중 순금융자산(총자산-실물자산-금융부채)은 이보다 휠씬 빠른 2015년부터 감소할 것으로 추정됐다. 김동윤 기자 oasis9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