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공학계 석학들이 10대 차세대 성장동력사업의 특별위원회에 민간 위원을 50% 이상 배정하고 기업 연구소 협회 등으로 구성된 민간 컨소시엄이 이 사업을 주도해 나가도록 촉구했다. 또한 공과대학 여교수 및 여성 공학인 채용목표제를 시행해 줄 것을 요청했다. 한국공학한림원(회장 이기준)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제2 기술입국을 향한 공학인들의 정책 제언'을 발간,국회의원과 정당 정부에 무료로 배포키로 했다고 17일 밝혔다. 공학한림원은 과학문화 창달을 위해 기술개방 주역을 스타로 만들고 기업이 과학관 등을 건립 운영할 경우 조세를 감면해주는 법을 만들어주도록 요청했다. 또한 인재 등용제도를 개선하기 위해 사법고시를 로스쿨 제도로,행정·외무고시를 부처별 선발제도로 바꾸고 4급 이상 공무원의 직군 제한을 폐지해 기술직과 행정직간 차별을 없애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공학기술인을 기술관련 부처의 장·차관으로 임명하고 비례대표 국회의원의 40%를 공학기술인에게 할당해주도록 촉구했다. 이기준 회장은 "정치인과 지도층 인사들에게 공학기술 실태와 기술정책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제언서를 냈다"며 "과학기술 중심사회 구현을 위한 정책 수립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번 정책 제언에는 이상은 아주대 교수,김도연 서울대 교수,최영락 과학기술정책연구원장,김학민 과학기술기획평가원 단장,박항구 현대시스콤 회장,양지원 한국과학기술원 교수,전의진 인천정보산업진흥원장 등이 참여했다. 장원락 기자 wr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