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에세이] 과학기술자의 반성..채연석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yschae@kari.re.kr
지난 10일 대덕연구단지 18개 정부출연 연구기관장을 비롯해 27개 과학기술계 기관장이 모여 원자력발전소 방사성 폐기물 수거센터 논란과 관련한 '과학자 양심선언'을 했다.
선언의 주요 내용은 원자력 이용과정에서 나오는 방사성 폐기물은 우리 과학기술로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방사성 폐기물의 안전한 관리는 과학기술자의 의무인 동시에 원자력의 혜택을 누리고 있는 우리 세대의 책무라는 점.
또 친환경적인 에너지 개발이 될 수 있도록 과학기술자로서의 역할을 다할 것과 조속한 원자력 방폐장의 건설을 촉구하는 내용이었다.
이것은 지난달 서울대 교수의 원자력 방폐장 유치선언과 그 맥을 같이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핵발전소는 고리 1호기를 비롯해 영광 울진 월성 등 4개 지역에 모두 18기가 가동 중이다.
우리나라 발전량 중에서 원자력발전이 38.9%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전력소비 증가율은 최근 10년간 연 10% 이상씩 기록해 왔으며,원자력 발전을 하지 않으면 이들 발전연료의 대부분을 수입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곧 우리 산업의 국제경쟁력에 그만큼 부담을 지우는 결과가 된다.
원자력 발전은 우리나라에서는 꼭 필요한 분야이고, 필연적으로 방사성 폐기물을 생산하게 된다.
원자력 발전은 우리나라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2001년 12월 기준으로 운전중에 있는 각국의 원자력발전소는 미국 1백3기, 프랑스 57기, 일본 52기 등 모두 4백32기에 달한다.
사실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 부지선정의 절차 문제가 핵폐기물 처리 자체의 '기술적 위험성' 이상으로 증폭되어온 것으로 생각한다.
엄격한 안전기준, 철저한 안전관리만 기울인다면 안전한 처분장 운영은 충분히 가능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사태가 여기까지 오게 된 데에는 과학기술인의 노력이 부족하지 않았는지 자성해 본다.
그동안 과학기술인과 일반 국민간의 교류가 부족했고,이로 인해 과학기술인에 대한 국민의 신뢰가 구축되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이번 원자력 문제를 바라보면서,과학기술인의 사회적 역할이 점점 더 크게 요구되고 있다는 현실을 인식하게 됐다.
국민들과의 신뢰 구축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다짐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