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줄기세포 복제 어떻게 나왔나] 황우석 뒤에 14명 '브레인' 있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황우석·문신용 서울대 교수팀이 세계 최초로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복제하기까지는 많은 연구진의 도움이 있었다.
외국의 석학과 언론들로부터 '기절할 만한 성과'라는 평가를 받은 이번 프로젝트에는 서울대 수의대와 의대를 비롯 한양대 의대,가천의대,미즈메디병원 등 의료기관이 주도적으로 참여했다.
황 교수와 문 교수는 2001년부터 본격 연구에 들어갔다.
배아줄기복제 연구에 필요한 각 영역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둔 학자 가운데 평소 가까웠던 인물들을 참여시켰다.
이번 프로젝트는 황 교수가 자신의 연구성과를 기반으로 인간 줄기세포 복제에도 도전하기 위해 추진됐다.
재정적인 지원은 어느 독지가로부터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문 교수가 단장으로 있는 프런티어세포사업단으로부터 측면 지원도 받았다.
◆한양대 의대=산부인과 황윤영 교수 등은 연구 수행의 첫걸음인 난자 채취를 맡았다.
외국의 경우에는 난자가 부족해 연구에 어려움을 겪고 있을 정도로 기증자를 확보하는 데 애를 먹고 있다.
얼마나 많은 난자를 안전하게 채취하느냐가 연구의 첫번째 관문인 셈이다.
연구팀은 다행히 10여명의 자발적 난자 기증자를 확보,한양대 의대 임상시험윤리위원회에서 연구계획을 승인받아 총 2백42개의 정상 난자를 얻음으로써 연구 발판을 마련할 수 있었다.
황 교수는 산부인과에서 종양 수술과 미세 수술을 전공한 경험을 활용,안전하게 난자를 채취할 수 있었다.
◆미즈메디병원=윤현수 미즈메디의학연구소(MMRC) 소장,박종혁 박사 등 10여명의 연구진은 핵이식 난자를 배양,배아줄기세포를 확립하기까지의 핵심 연구 과정을 맡았다.
1994년 설립된 미즈메디의학연구소는 세계적인 배아줄기세포 연구기관으로 그동안 15종류나 되는 배아줄기세포주를 만들어 냈다.
황우석 교수팀이 화학물질인 칼슘아이노포어(A23187)를 적용,핵이식 난자를 활성화시킨 다음 윤 소장 연구팀이 단계별 특성에 맞는 특수 배양액을 이용해 이를 배반포 단계까지 발육시키는 데 성공했다.
이같은 연구 성과는 세계적으로 첫 사례로 기록됐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총 30개의 배반포를 얻어 장시간 배양한 결과 연구팀은 한 개의 복제 배아줄기세포를 확립했다.
윤 소장은 "우리의 줄기세포 확립기술은 세계적 수준"이라며 "이같은 기반을 바탕으로 줄기세포 응용연구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대 의대=안규리 박사는 면역 의학자로 기술진행 과정에 참여,논문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 크게 기여했으며 줄기세포 확립 기술개발에 많은 도움을 줬다.
문신용 교수는 프런티어사업단인 세포응용사업단 단장으로 실험 설계에서부터 결과 발표에 이르기까지 전과정을 지휘했다.
◆가천의대=구자민 생명공학부 교수가 줄기세포 배양 등에 주도적으로 참여했으며 줄기세포를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기타=박기영 순천대 교수(청와대 정보과학기술보좌관)는 황우석 교수의 인간 배아줄기세포 복제와 관련한 생명윤리 문제에 대해 조언했다.
미국 미시간대의 호세 시벨리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를 현지서 검증해주는 역할을 맡았다.
오춘호·장원락 기자 ohc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