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포커스] 악재에 짓눌린 분양시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아파트 분양시장의 침체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각종 악재로 인해 개발 및 주택전문 업체들의 설자리가 갈수록 좁아지고 있다.
철근값 인상에 따른 공사비 급등,금융기관의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심사기준 강화 등의 악재로 신규 분양사업이 사실상 정지된 상태다.
여기에다 시민단체들의 분양원가 압박까지 갈수록 강도를 더하고 있어 올 상반기 주택시장은 크게 위축될 전망이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올들어 아파트 분양시장 여건이 개선될 조짐을 보이기는 커녕,원자재값 폭등 및 수요 위축 등으로 더욱 악화되고 있다.
정부의 규제강화와 금융 경색,원가 공개 압박,원자재난 등으로 사면초가에 빠진 업체들도 사업을 진행할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주택공급량이 급속히 감소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부동산컨설팅업체인 해밀컨설팅의 황용천 사장은 "지난해 하반기 이후 시작된 분양시장의 침체는 2년 뒤에 영향이 나타난다"며 "중단기적 집값 안정을 위해서라도 정부의 정책 수위 조절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곳곳에 도사린 악재들
지난해 하반기 이후 서울 동시분양은 물론 수도권 인기 지역에서도 미분양이 속출하고 있다.
초기 계약률도 20∼30% 넘기기가 힘들다.
투자수요는 물론 실수요까지 시장을 떠났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올 초부터 급등한 철근값 여파로 건축비도 큰 폭으로 오르고 있다.
철근값 폭등으로 평당 건축비가 30만원 남짓 상승하는 바람에 평당 40만원 이상의 분양가 상승요인이 발생했다고 업계는 하소연하고 있다.
하지만 시민단체의 분양원가 공개 요구가 거세지고 있어 속으로만 끙끙 앓고 있는 실정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도 개발 가능한 지역의 땅값은 여전히 높게 형성돼 있다.
또 금융기관의 자금지원도 사실상 끊긴 상태다.
우리은행 하나은행 등 대부분의 제1금융권은 프로젝트 파이낸싱(PF)사업을 자제하고 있다.
◆사업포기한 땅 대거 매물로 나와
최근 들어서는 주택사업 인허가를 받은 땅까지 매물로 등장하고 있다.
영등포와 용산 등 서울시내 인기 지역의 대형 개발 예정지들까지 새 주인을 찾고 있다.
시공사 및 금융기관과의 짝짓기가 쉽지 않아 사업을 포기하는 소형 개발 예정지는 부지기수다.
땅을 잡기 위해 개발업자들이 경쟁적으로 달려들던 지난해 상반기와는 너무나 대조적인 분위기다.
지방은 물론 수도권과 충청권에서도 이처럼 사업진행을 포기한 땅들이 속속 매물로 등장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사업 추진이 어려워 계약을 해지하거나 사업권을 이양하는 개발용 토지가 속출할 것"이라며 "문제는 이런 상황에선 누구도 섣불리 뛰어들려 하지 않는다는 데 있다"고 말했다.
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