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헌재 부총리겸 재정경제부 장관은 22일 강신호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과의 조찬 회담에서 "창업형 기업가"에 대한 우대 방침을 강조,실업.신용불량 대란 등 난마처럼 얽힌 경제현안에 대한 "이헌재식 해법"의 실마리를 내놓았다는 평가다. 지난 11일 취임 후 여러차례 "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기업가 정신(entrepreneurship)이 살아나야 한다"고 강조해온 그가 이번 회동을 통해 "기업(起業)의욕 북돋기"의 구체적인 정책운용 방향을 제시했다는 얘기다. 이는 속성상 "관리형"에 가까울 수 밖에 없는 전문경영인보다 "창업형" 기업 오너들에 힘을 실어주겠다는 방향 제시로 받아들여져 주목된다. 재계는 즉각 환영하고 나섰다. 전경련 관계자는 "외환위기 이후 금융·기업 구조조정을 주도한 이 부총리가 또다시 구조조정 등 재벌 개혁에 비중을 두지 않을까 하는 재계의 우려가 없지 않았던 것도 사실"이라며 "이번 회동을 계기로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해 정부와 재계가 힘을 합치자고 제안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날 회동에서 이 부총리가 "기존 기업의 창업이든,순수한 창업이든 창업가에 대해서는 4∼5년간 세금 부담을 느끼지 않게 하고 정부 간섭도 느끼지 않도록 해줘야 한다"고 강조한 것은 이런 맥락에서 주목된다. 이 부총리가 "경제가 다음 단계로 발전하려면 빌 게이츠 같은 창업가들이 나와야 하는데 관리형 기업가들은 경비 절감이나 주가,당기순이익 등 단기 실적에 매달리기 때문에 중장기적인 경영을 하기 어렵다"고 설명한 것도 '오너 기업인'들에게 힘을 실어준 대목이다. 5년간 2백만개 일자리 창출 등 산적한 경제현안을 풀기 위해서는 '5% 이상'의 성장이 필요한데 그간의 구조조정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것. 앞으로는 창업을 통해서 경제의 새로운 활력을 찾도록 해야 한다는 게 '이헌재식 경제 해법'의 단서인 셈이다. 이 부총리는 이를 위해 투자에 대한 '꼬리표'를 달지 않을 것임도 분명히 했다. 창업 투자에는 기존 기업의 투자도 포함된다고 못박은 부분이 바로 그것이다. 이와 함께 "국내 투자도 중요하지만 외국 자본과 기술이 묻어오는 컨소시엄 형태의 합작 투자가 중요하다"며 합작 투자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재경부 관계자는 "외국자본의 유입으로 기업 투명성 확보와 대외 신인도 제고,새로운 일자리 창출이라는 세 마리 토끼를 한꺼번에 잡을 수 있는 만큼 이 부분에 대한 노력을 당부한 것으로 해석된다"고 말했다. 이날 회동에서는 골프장에 가장 먼저 도착한 김광림 재경부 차관이 자신몫의 그린피 17만여원을 먼저 계산했다가 폭우로 라운딩이 취소되자 환불받는 등 달라진 접대 문화를 보여줬다. 박수진 기자 parks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