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에 대중국 무역흑자가 1백32억달러에 달하는 등 수출 호조가 우리 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했지만 대일 무역적자 또한 1백90억달러를 넘어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중국에서 돈을 벌어 일본에 바친 셈이라는 무역업계 지적도 무리가 아니다. 전년보다 29.4%나 늘어난 대일 무역적자는 두말할 것도 없이 부품ㆍ소재의 대일 의존도가 여전한 탓이다. 최근들어 환율문제,원자재 가격상승 등이 수출 불안요인이 되고 있지만 여전히 변치 않고 있는 불안 요인이 있다면 부품ㆍ소재의 경쟁력 문제일 것이다. 일본의 벽은 높기만 한데 자동차부품 전자부품 등 대다수 품목에서 중국과의 경쟁력 격차는 갈수록 축소되고 있기 때문이다. 수출 호조의 국내 파급효과가 예전같지 않다는 얘기만 해도 그렇다. 부품ㆍ소재의 대외 의존이 늘어만 가는 것과 무관하다고 할 수 없을 것이다. 정부가 이런 부품ㆍ소재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신뢰성 향상에 눈을 돌리고 있는 것은 잘하는 일이다. 올해만 해도 국산 부품·소재에 대한 불신 해소에 3백66억원을 지원한다고 한다. 신뢰성 평가인프라를 확충하고 신뢰성 인증제품의 수요를 촉진한다는 것이다. 그동안 국산화 계획이다,기술개발이다 해서 여러 지원책을 펼쳐 왔지만 사실 시장에서 받아주지 않으면 소용없는 일이다. 그만큼 신뢰성은 시장진입의 관건이다. 하지만 신뢰성은 하루아침에 제고될 수 있는게 아니다. 이런 노력은 지속돼야만 비로소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그래야 대일적자 문제도 그 출구가 보일 것이다. 그런 측면에서 생각하면 미래형 자동차,지능형 로봇 등 10대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 역시 부품ㆍ소재 개발과 연계돼야 할 것은 물론이고 기술개발 과정에서 신뢰성 평가가 당연히 핵심사항으로 고려돼야 한다. 품질혁신 차원에서의 식스시그마운동처럼 전 산업에 걸쳐 신뢰성 향상 운동을 펼칠 필요도 있다. 이 모두가 제조업의 경쟁력에 직결되는 것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