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팔리는 골프용품…특소세 '직격탄'..업체 줄도산 우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골프용품업계가 2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3년여의 장기불황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판에 최근 재경부가 '2005년 특소세 폐지방침'을 조기발표하면서 클럽 유통시장이 큰 혼란에 빠져 있다.
23일 한국골프용품협회 대한골프상협회등 골프용품관련 단체에 따르면 지난달 재경부가 청와대 업무보고에서 '골프용품 등에 매기는 20%의 특소세를 2005년에 폐지할 계획'이라고 밝힌 이후 골프용품 판매량이 전년 같은기간에 비해 30%이상 떨어졌다.
이들 단체는 업계가 2001년 이후 지속된 불황으로 가뜩이나 어려움을 겪고 있는 터에 골프 시즌을 앞두고 나온 특소세 인하방침 발표로 골퍼들이 구매 시기를 늦추려는 바람에 매출이 더 줄었다고 주장했다.
골프용품 제조 및 수입업체들의 모임인 한국골프용품협회 김유환 회장(한미스포츠 대표)은 "특소세가 인하되면 가격이 내려갈 것이라는 점 때문에 제품을 받아줄 판매상이 없어 제조업체나 수입업체 모두 출고를 미루고 있는 실정"이라며 "이러다가 제조·수입업체 가운데 상당수가 자금 압박으로 문을 닫을 것"이라고 말했다.
골프용품 도·소매상 모임인 골프상협회 이재우 회장도 "봄철엔 골프용품 판매가 가장 활발해지지만 올해는 재경부의 발표 탓인지 좀처럼 매기가 없다.
1년만 기다리면 1백만원짜리 골프 클럽을 80만원 이하에 살 수 있다는 사실을 알면서 지금 사겠다는 사람이 있겠느냐"며 시장 상황을 전했다.
이처럼 시장이 침체됨에 따라 업계 일각에선 골프용품 특소세 폐지를 재고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한국골프용품협의회 정종길 회장(기가골프 대표)은 "현 상태에서 특소세 인하는 시장을 교란하고 국산 클럽 메이커들의 설 자리를 빼앗는 것이나 다름없다"며 "그럴 바에야 차라리 특소세를 존속시키는 것이 낫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소세가 폐지되면 여행객들의 외국산 골프클럽 반입이 늘어나고 병행 수입업자가 활개치는 등 시장 질서가 무너지고 수입 클럽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싸짐으로써 국산 클럽은 지금보다 설 자리가 더 없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업계 일부에서는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2001년 시행했던 특소세경감 경과조치를 이른 시일 안에 취해줄 것도 요구했다.
특소세 인하를 조기에 실행하고 판매상과 수입업체의 재고에 대해 특소세 관련 세금을 환급해달라는 주장이지만 정부는 특소세 조기인하 계획이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김경수 기자 ksm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