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례 통상회담에 참석하고 있는 미국 데이비드 그로스(David Gross) 대사는 25일 "한국의 업체들이 자율적으로 통신기술 표준을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외교통상부에서 이날 오전 열린 통신분야 통상회담에 참석한 그로스 대사는 오찬 기자간담회에서 "한국이 통신분야 표준을 정하는 것은 좋지만 업체들이 표준 이외 다른 기술을 선택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은 잘못"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로스 대사는 또 "올해는 미국에 대통령 선거가 있는 해로 정치적으로도 민감한 때"라며 "한미 양측에 이익이 되는 기술적 절충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로스 대사는 그러나 미국이 한국업계가 표준화를 추진하는 무선인터넷 플랫폼위피(WIPI) 문제를 거론하는 것은 퀄컴의 브루만을 위한 것 아니냐는 질문에 "하나의 회사만을 위한 것이 아니다"고 모호하게 답변했다. 그는 또 퀄컴이 흑백 휴대전화 시절 맺은 계약에 따라 카메라폰이 주종을 이루고 있는 현재까지 동일한 로열티를 받고 있는 것은 문제가 아니냐는 질문에 "미국정부는 민간 회사차원의 계약에 관여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그로스씨는 미국 부시 대통령이 임명하고 상원의 인준을 받은 통신분야 전문대사다. (서울=연합뉴스) 류현성 기자 rhew@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