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1월 미국 대통령선거에서 재선을 노리는 조지 부시 대통령이 동성결혼을 금지하는 헌법개정을 주창함으로써 앞으로 보수층의지지를 결집할 수 있는 사회 이슈들을 놓고 `문화 전쟁'에 불을 붙이는 전략으로 전세 역전을 꾀하고 있다고 미국의 주요 언론들이 25일 분석했다. 당초 부시 대통령은 전쟁의 수행과 감세 정책 등을 통해 거둔 성과를 발판으로재선운동을 펼친다는 계획이었다. 부시 대통령은 2000년 대선때 "분열이 아니라 단합을 이루는 사람"으로 자신을선전했던 것 처럼 이번 재선운동에서도 찬반 양론이 팽팽히 맞서는 민감한 사회적이슈에 대해서는 직접적인 대응을 피한다는 전략이었다. 그러나 공화당의 선거전략가들은 민주당이 전례없이 강력한 단결력을 보여주며우세를 점해나가고 있는 상황에서는 부시 대통령이 전략노선을 수정하는 것 이외에달리 대안이 없으며 결국 동성결혼 등과 같은 문화적 이슈를 선거운동의 중심에 놓을 수 밖에 없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고 워싱턴 포스트(WP)가 보도했다. 부시 대통령의 정치적 기반인 보수진영에서는 천문학적인 재정적자와 불법이민자의 합법화 계획 등으로 인해 부시에 대한 지지열기가 식어가고 있는 반면 부시 대통령은 경제 문제와 이라크전 문제 때문에 계속 수세에 몰려 있는 형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동성결혼 문제가 뜨거운 이슈로 부각됨으로써 부시 대통령은부동표를 잃는 한이 있더라도 사회 문제에 있어서 보수적인 성향인 유권자들의 기대에 부응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 `문화적 위기'로 여겨질 수 있는 동성간 결혼을 금지하는 헌법 개정을 주창하게 됐다는 것이다. 2000년 공화당 대선후보 지명전에서 부시에게 도전했던 개리 바우어는 "부시 대통령이 지금까지 문화적 이슈에 열정을 보이지 않아왔으나, 결혼의 개념이 다시 정의내려지고 있는 상황에서 전통적 가치를 숭상하는 대통령이 수수방관만 한다는 것은 상상할 수 없는 일"이라면서 부시 대통령이 행동을 보여야만 한다고 말했다. 부시 대통령은 특히 지난 1988년 그의 부친인 부시 전 대통령이 국기에 대한 충성맹세와 국기 모독행위 등과 같은 이슈들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함으로써 경제와안보 문제에 치중했던 다른 후보들을 누르고 승리했던 전략에 눈을 돌리고 있다. 낙태와 애국주의, 동성애, 대중문화 등과 같은 사회적으로 민감한 이슈들은 공화당내에서 열성당원들을 결집시키는데 있어서 종종 큰 효과를 발휘해왔다. 따라서 부시 대통령은 이러한 이슈에 적극 대응하는 `문화 전쟁'을 통해 분위기를 반전, 승기를 잡겠다는 전략이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지지율이 속락하고 민주당 후보와의 가상대결에서도 패배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상황에서 부시 대통령으로서는 핵심 지지층의 결집을 유지하는것이 필수적이며 동성결혼을 합법화한 매사추세츠주 출신인 민주당의 선주두자인 존케리 상원의원과의 차별성을 부각시키는데 있어서는 동성결혼 반대와 같은 문화전쟁이 매우 효과적인 전략이 아닐 수 없다. 공화당의 전략가들은 동성결혼을 금하는 헌법개정 시도가 보수층 뿐만 아니라민주당 지지층 가운데서도 낙태를 반대하고 교회에 꾸준히 나가는 계층들을 끌어들일 수 있으며, 특히 부시의 경제정책에 불만을 갖고 있는 민주당 지지층의 마음을돌릴 수 있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보도했다. 그러나 민주당의 선거전략가들은 1988년의 경우 부시 전 대통령의 전략이 주효했는지는 몰라도 지금은 사회가 더욱 다양해지고 더욱 관용적이 됐다는 점을 들어 `문화전쟁'이 그때와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공화당 소속 의회의원들 가운데 일부도 부시의 `문화전쟁' 전략에 다소 신중한태도를 보이고 있는데, 일부 의원들은 동성결혼 금지를 위한 헌법개정 대신 이 문제를 우선 법원의 판단에 맡겨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서울=연합뉴스) 박상현기자 shpar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