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르스트 쾰러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는 26일 북한 핵 문제는 현재 한국 경제에 큰 위협 요인이 아니라고 말했다. 또 한국과 일본 등 아시아 주요국들의 환율 운용과 관련, "일본은 디플레 퇴치를 위해 일정한 환율 조정이 불가피했지만 한국은 재정과 성장 등에 큰 문제가 없는 만큼 환율 흐름을 되도록 시장에 맡겨야 한다"며 한국 정부가 외환시장에 지나치게 개입하고 있다는 보고서 내용을 재확인했다. 27일부터 열리는 노무현 정부 1주년 국제 세미나에 참석하기 위해 방한중인 쾰러 총재는 이날 오후 서울 신라호텔에서 내외신 기자회견을 갖고 "현재 남북한과 다른 국가들이 (6자)회담을 갖고 있는 만큼 (상황이) 진전될 기회가 있다"고 전제하고 "현재로서는 북핵이 한국 경제에 크게 부정적인 요소가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한국 경제의 총요소생산성을 높이는 등 경제체질을 강화하는 방안과 관련, 쾰러 총재는 "국민들에게 동기부여를 할 수 있는 제도적 환경 조성이 필요하며 교육시스템을 효율화해 젊은 세대에 최선의 교육환경을 제공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그는 중국 위안화의 평가절상 필요성에 대해서는 "중국이 세계 경제에서 역할을 확대하고 국제 질서에 적응해 나가도록 돕는 방법을 생각해야 한다"며 "(통화절상) 압력을 넣기보다는 대화와 설득을 통해 중국이 더많은 유연성을 기르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학영 기자 ha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