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과 민주당 후보 캠프가 2002년 대선 당시 기업에서 불법 모금한 돈중 227개 지구당 및 16개 시도지부 등에 제공한 비공식지원금을 제외한 나머지 불법자금의 행방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그간 검찰수사를 통해 확인되거나 수사중인 한나라당 불법 대선자금은 총 817억2천만원으로 파악되고 있다. 여기에는 삼성,LG, SK, 현대차 등 4대그룹이 제공한 722억원에 한화, 롯데, 대우건설 등 기업에서 받은 95억여원이 포함돼있다. 한나라당은 이중 410억원을 지구당에서 대해서는 전략, 경합, 열세지역을 분류해 지구당별로 최소 7천만원에서 최대 2억원까지 지원했으며 시도지부에도 평균 3억원 정도의 돈을 내려보냈다고 검찰은 밝혔다. 여기엔 대선을 앞두고 당적을 옮긴 입당파 의원 11명에게 선거 활동비 명목으로지급한 평균 2억원 가량의 불법자금을 제외돼 있어 이 돈까지 포함한다고 해도 대략390억원에 약간 못미치는 액수의 사용처가 아직 드러나지 않았다. 삼성에 채권 170억원을 반환했다는 한나라당의 주장이 사실이라고 해도 최소 220억원의 행방은 아직까지 묘연하다는 점에서 향후 검찰수사를 통해 용처가 드러날지주목된다. 반면 노캠프의 경우 강금원씨가 용인 땅 매매 형식을 빌려 무상 대여한 19억원과 안희정.최도술씨 등 측근들이 대선이 끝난 뒤 불법 수수한 돈을 제외하면 기업을상대로 불법 모금한 것으로 확인되거나 수사가 진행중인 액수는 78억6천200만원으로한나라당의 10분의 1에 미달하는 액수다. 노캠프 역시 대선 당시 총 42억5천만원의 비공식 지원금을 지구당과 시도지부에내려 보냈으며 이중 20억원 정도는 기업에서 불법 모금한 자금의 일부인 것으로 확인됐다. 검찰은 나머지 비공식 지원금 22억5천만원도 불법자금이 출처라는 의혹이 있다고 밝히고 있어 최소 36억원에서 최대 58억6천만원의 사용처가 아직까지 베일에 가려져 있는 셈이다. 양쪽 선거캠프 모두 불법모금 액수와 이른바 `출구조사' 결과 사이의 격차가 크게 나타남에 따라 전체의 절반에 해당하는 불법자금의 용처와 관련, 선거와 무관한용도로 유용됐거나 대선잔금 형태로 보관돼있을 가능성 등 갖가지 경우의 수가 거론되고 있다. 검찰은 삼성에 채권 170억원을 돌려줬다는 한나라당측의 주장을 그대로 인정한다고 해도 반환 시점은 대선이 끝나고 한참 후일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만약 사실이 그렇다면 왜 한나라당이 그런 거액을 장기간 보관하고 있다가 나중에 되돌려줄 수 밖에 없었는지에 대한 의문이 고개를 들수 밖에 없는 형편이다. 또 신경식 의원이 롯데에서 받은 현금 10억원 가운데 6억5천만원이 이회창 전후보의 개인 후원회인 `부국팀' 핵심 관계자로 일했던 이흥주 전 특보에게 전달된사실까지 확인돼 중앙당의 공식.비공식 지원금을 제외한 별도의 돈이 지구당 및 시도지부 또는 비공식 조직 등에 흘러간 것이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신 의원은 "3억5천만원은 충청도 35개 지구당에 1천만원씩 줬고 나머지 6억5천만원은 이흥주 전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 행정특보에게 전달, 수도권 지구당에 배분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해명한 바 있다. 검찰은 열린우리당 이상수 의원이 한화에서 받은 채권 10억원의 사용처에 대해대선이 끝난 뒤 사채업자를 통해 현금으로 바꾼 뒤 당원 연수비 등으로 사용했다고해명했지만 이들 채권이 아직 증권예탁원에 입고되지 않은 점 등을 근거로 유용 가능성을 여전히 배제하지 않고 있다. 문제는 불법자금들이 당초부터 현금으로 정치권에 건네지거나 채권이었다고 하더라도 복잡한 돈세탁을 거쳐 현금화됐을 가능성이 높아 계좌추적을 통한 사용처 규명이 쉽지 않다는 점이다. 검찰 수사팀 관계자는 지구당 및 시도지부에 제공된 비공식 지원금에 대한 용처수사 여부에 대해 "거의 전액이 현금으로 지원돼 자금 행방을 쫓는 게 쉽지 않다"며고민을 토로했다. 결국 불법자금의 사용처에 대한 전모는 결국 선거자금의 집행에 관여한 김영일.이상수 의원 등 양쪽 선거캠프 핵심 관계자들의 입을 통해 규명될 수밖에 없는데다총선 때문에 수사기간이 불과 10일 밖에 남지 않았다는 점에서 이들에 대한 검찰의압박강도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관측된다. (서울=연합뉴스) 조계창 기자 phillif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