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 6者회담 이틀째] 韓ㆍ中ㆍ러, 핵동결땐 에너지 지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남북한과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 6개국 대표단은 2차 6자회담 이틀째인 26일 조어대(釣魚臺) 방비원(芳菲苑)에서 전체회의와 양자접촉, 실무회의를 잇따라 열고 북핵 핵심 쟁점을 집중 조율했으나 이견을 좁히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당초 27일로 예상됐던 폐막일이 28일 이후로 연기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북ㆍ미 대표단은 이날 전체회의 직후 양자 접촉을 가지며 협상을 벌였으나 별다른 합의점을 찾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북ㆍ미 양측은 고농축 우라늄(HEU) 핵프로그램 문제와 CVID(완전하고 검증 가능하고 되돌릴 수 없는 핵폐기) 방안에 대해 이견을 노출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CVID에서 C(완전한 폐기)문제에 대해 양측의 입장이 팽팽하게 맞섰다는 후문이다.
북한은 평화적 핵활동을 유지한 채 핵무기만을 폐기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반면 미국은 둘을 포괄하는 모든 핵프로그램의 폐기를 주장, 의견을 좁히지 못했다.
북한대표단의 현학봉 대변인은 이날 오후 9시 40분께 베이징 북한대사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미국은 선(先) 핵포기 입장만을 고집하면서 우리의 평화적 핵활동을 포함한 모든 핵계획을 포기한 다음에야 우리의 요구사항을 논의하겠다는 입장을 표시했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회담에서 한국 중국 러시아는 북한이 모든 핵폐기를 전제로 핵동결을 할 경우 에너지 지원을 하기로 했다.
한국 수석대표인 이수혁 외교통상부 차관보는 전체회의 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중국과 러시아는 대북 에너지 지원에 동참하겠다는 견해를 밝혔고, 이에 미국과 일본은 동참하겠다는 뜻을 표명하지 않고 단지 이해와 지지를 표명했다"고 말했다.
이 차관보는 "모든 핵은 완전 검증이 가능하게 폐기하는 시작 단계에서 핵동결을 할 때 에너지 지원이 가능하다"며 "구체적인 핵동결과 에너지 지원 등의 상응조치는 워킹그룹(실무회의)에서 토의하자는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덧붙였다.
베이징=오광진 특파원ㆍ권순철 기자 kjo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