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2006.04.02 00:14
수정2006.04.02 00:17
고철 부족에 따른 철강 업체들의 조업 중단·단축으로 철근을 구하지 못해 일손을 놓고 있는 건설 업체들이 이번에는 모래 파동까지 겪을 처지에 놓였다.
27일 한국골재협회 인천지사와 골재 업계에 따르면 최근 인천지역 17개 골재 채취업체 중 6개 업체의 바닷모래 야적장이 이미 바닥을 드러낸데 이어 나머지 12개 업체도 2∼3일 정도면 재고가 모두 없어질 전망이다.
그러나 인천 앞바다 해사채취 허가권을 갖고 있는 인천시 옹진군은 건설교통부와 환경부 등이 바닷모래 채취 조건에 대해 공통된 유권해석을 내놓기 전까지는 29일 만료되는 해사채취 허가를 연장해주지 않겠다는 방침을 고수하고 있어 모래 부족사태는 불보듯 뻔한 상황이다.
최근 환경단체와 주민들은 해사채취로 어장과 자연환경 등이 훼손된다며 채취 이전에 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하라고 주장하며 옹진군에 채취 금지를 요구해 왔다.
이에 대해 건교부 환경부 등은 '환경·교통·재해 등에 관한 영향평가법'을 근거로 서로 다른 평가실시 조건을 내놓는 등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못하고 있다.
건교부는 옹진군 주장처럼 환경영향평가 없이 모래채취를 허용해 줘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환경부는 환경영향평가는 받아야 하며 다만 모래파동이 생기지 않도록 조속히 협의를 끝내겠다는 방침이다.
옹진군이 이같은 움직임을 보이자 해사 채취를 허가하고 있는 충남 태안군 역시 허가를 보류해 자칫 모래 파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될 우려마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10여일전 ㎥당 7천여원 하던 바닷모래 가격이 최근 1만∼1만3천원으로 치솟았다.
인천 골재협회 한 관계자는 "해사채취가 어렵게 되자 레미콘 업체들이 웃돈을 주고서라도 모래를 확보하겠다고 나서면서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김후진 기자 j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