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총의 올 단체협약 지침발표를 한국노총이 '선전포고'로 간주하는 등 재계와 노동계가 임단협 출발부터 현격한 시각차를 드러내고 있어 걱정이 아닐 수 없다. 경총은 주5일 근무제에 따른 근로시간 단축,정규직 근로자의 고용 유연성과 연동한 비정규직 처리 등을 골자로 하는 '지침'을 전국 4천개 사업장에 배포했으나 이에 대해 한국노총은 임금과 노동조건의 저하없는 주5일제,비정규직의 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 적용을 제시하며 "노동자의 강한 저항과 투쟁을 불러올 것"이라고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우리는 노사간에 발생할 수 있는 견해차이가 어떤 상황에서라도 각 사업장의 협상테이블에서 대화와 타협을 통해 해결돼야 한다고 생각한다. 노·사·정이 서로 자기몫을 양보하면서까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사회협약에 합의했을 정도로 지금은 그 어느때보다 경제가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이다. 만약 모처럼 조성되고 있는 산업현장의 평화가 깨지고 노사갈등이 재연된다면 우리 경제는 더이상 회복이 어려울 정도의 큰 어려움에 처할지도 모른다. 지금 이 시점에서 노사는 모두 우리 경제의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 기업의 경쟁력을 염두에 두어야 함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일부 대기업들이 대화와 타협이란 모양새를 지나치게 의식한 나머지 인기영합주의로 흐르며 지나친 양보를 할 경우 해당 기업의 경쟁력 약화는 물론이거니와 이같은 잘못된 본보기가 확산되면서 노사현장이 또다시 혼란에 빠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임금감소에 대한 노동계의 우려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지만 휴일수를 줄이지 않고 주5일제를 실시하면 그 자체만으로도 12~13%의 임금상승 효과를 갖게 된다는 점을 잘 새겨야 한다. 연월차 휴가 등 각종 휴가를 현실에 맞게 조정하거나 각사의 경영상황을 감안해 탄력적인 근로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견해가 설득력을 지니는 이유이기도 하다. 노·사·정 사회협약에서 합의한 대로 비정규직의 처우를 개선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것이 기업의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차원이어서는 곤란하다. 실제 노동계 요구대로 비정규직의 대우를 정규직 수준으로 올리려면 수조원의 재원이 들어가야 하는 게 현실이기도 하다. 지금 우리 사회의 가장 큰 아픔은 젊은 청년들이 일자리를 못찾는 등 내일에 대한 희망이 사라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제 노사간의 협상도 자기몫 찾기만이 아닌 '일자리 창출'이라는 사회적인 희망을 담아내는 성숙한 모습을 보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