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들이 국민주택기금 운용권을 따내기 위해 '덤핑 수수료'를 제시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건설교통부가 국민주택기금의 운용증권사 선정과정에서 수수료를 주요 기준으로 제시했기 때문이다. 9일 건설교통부와 증권업계에 따르면 삼성 대우 굿모닝신한 우리 대투 등 국민주택기금 운용사로 선정된 5개 증권사는 국민주택기금으로부터 연간 0.08∼0.21%의 수수료만 받기로 했다. 2천억원의 자금을 배정받을 경우 증권사는 자금을 굴려주는 대가로 연간 1억6천만∼4억2천만원의 수수료를 받는다는 얘기다. 이는 증권사가 일반인들에게 부과하는 수수료의 10분의1 수준에 불과하다. 삼성증권은 펀드형랩의 수수료로 연간 0.8∼1.6%의 수수료를 받고 있으며 대우증권의 펀드형 랩 수수료는 연간 1.5∼2.0%다. 이 정도의 수수료는 이익은커녕 역마진이 우려된다는 게 증권업계의 지적이다. 국민주택기금 자금은 펀드형 랩에 가입되기 때문에 자금이 펀드(수익증권)에 재투자된다. 펀드는 증권사가 아닌 투신운용사(자산운용사)가 운용하기 때문에 증권사는 투신운용사에 수수료를 다시 지급해야 한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투신사 수수료에다 인건비 마케팅비용 등을 감안했을 때 사실상 적자가 불가피하다"고 털어놨다. 증권업계는 국민주택기금이 '덤핑 수수료 입찰'을 사실상 유도했다고 입을 모은다. 증권사 선정 과정에서 수수료에다 상당히 높은 가중치를 부과했기 때문에 저가 입찰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는 얘기다. 모 증권사 고위임원은 "국민주택기금이 자금운용의 질보다는 가격에 집착하는 것 같다"며 "이는 결과적으로 성과의 질 하락을 몰고 올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건교부 관계자는 "공공자금을 운용하면서 수수료를 최대한 아껴야 할 입장"이라고 말했다. 국민주택기금은 이달말께 1조원의 자금을 5개 증권사에 배정한뒤 성과를 봐가며 1조원의 자금을 추가배정할 계획이다. 박준동 기자 jdpow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