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盧대통령 탄핵가결] "불확실성 증폭 당분간 조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불안장세가 당분간 불가피하다. 하지만 정치쇼크가 주식시장의 트렌드를 바꾼 적은 없다" "대통령 탄핵"에 따른 주가폭락에 대한 전문가들의 장세진단은 이렇게 요약된다.
전문가들은 "정국불안의 파장이 어디까지 미칠지 예측할 수 없는데다 투자심리가 워낙 위축되는 바람에 단기적으로 약세국면이 어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단기적으로 820이 지지선으로 작용하겠지만 최악의 경우 800선을 시험할 것으로 예상했다.
전문가들은 외국인 움직임이 가장 큰 변수라고 꼽았다.
하지만 멀리 내다보면 우량주를 싼 값에 살 수 있는 기회일 수 있다며 저가매수 관점에서 접근하라고 권유했다.
◆증시 전망
김석규 B&F투자자문 대표는 "헌법재판소의 최종결정이나 총선거 등 향후 불확실한 변수가 많아 당분간 주가도 불안안 움직임을 보일 것 같다"고 말했다.
함춘승 씨티글로벌마켓증권 사장은 "정치이슈가 경제 펀더멘털의 구조적인 변화를 초래하는 것은 아니지만 불확실성이 증폭된다는 점에서 주가에 마이너스 요인"이라고 말했다.
신성호 우리증권 상무는 "탄핵정국이 단기적으로 정부정책의 혼선·지연,기업활동 위축 등의 악영향을 불러올 수 있다"면서도 "과거 사례를 보면 정치쇼크가 주가에 악영향을 미치는 기간과 폭은 미미했다"고 말했다.
신 상무는 과거 우리 정치사에 가장 큰 충격을 던졌던 1979년 '10·26사태' 당시 주가하락은 1주일만에 마무리됐고,지수 하락폭은 9.5%에 그쳤다고 설명했다.
김석규 대표는 "정치문제가 기업가치와 증시 펀더멘털을 훼손하는 것은 제한적"이라며 "글로벌 경기회복 추세와 내수경기 동향이 보다 더 중요한 변수"라고 지적했다.
◆주가 변수
전문가들은 외국인 움직임이 최대 변수라고 지적했다.
다행이 이날 외국인은 5백30억원의 순매수를 기록,민감한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함춘승 사장은 "정치적 리더십 부재와 북핵문제 해결이 늦춰질 수 있다는 점에서 외국인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그러나 실제 매도공세로 이어질 것 같지는 않다"고 말했다.
김석규 대표는 "정치쇼크에 대한 과거 사례로 볼 때 외국인들은 국내 투자자들과 달리 매우 냉정하게 반응해 왔다"고 말했다.
이춘수 대한투신 주식운용본부장은 "탄핵정국에 따른 투자심리 위축이 가뜩이나 얼어붙은 내수경기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면서 "소비심리가 어느정도 충격을 받는 지 주목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성호 상무는 "헌법재판소의 최종결정, 탄핵정국의 조기종결 여부가 주가반등의 시기를 결정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투자전략
전문가들은 주가가 추가로 떨어질 때 저가 매수에 나서는 게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김석규 대표는 주가는 분명 싼 영역에 들어온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그는 "거래소시장뿐만 아니라 코스닥시장에서도 싼 우량주가 속출하고 있다"면서 "투매가 나올 때 주식을 사서 손해본 경우는 거의 없었다"고 덧붙였다.
이춘수 본부장은 "이날 우량주를 매수했다"면서 "단지 기간이 문제일 뿐 저가매수의 찬스인 것 만은 분명하다"고 말했다.
신성호 상무는 "향후 낙폭이 확대될 경우 우량주 물타기 전략을 적극 고려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또 주가가 빠르게 반등하면 추격매수 보다 관망하는게 좋을 것 같다고 강조했다.
장진모 기자 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