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12일 오전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에 대한탄핵소추안 가결에 따른 `국정 공백' 우려를 조기에 불식시키기 위해 하루종일 분주하게 움직였다. 특히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게 될 고 건(高 建) 국무총리는 각종 긴급회의를 소집하거나 주요 부처로부터 비상대책을 보고받는 등 긴장감을 늦추지 않은채 국정운영의 진두지휘에 나섰다. 고 총리는 이날 오전 국회의 탄핵소추안 처리에 앞서 김우식(金雨植) 청와대 비서실장과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이종석(李鍾奭) 사무차장과 전화통화를 갖고 `최악의 경우'에 대해 협의했다. 고 총리는 김 실장과의 통화에서 탄핵소추안 국회 통과시 청와대와 총리실이 협의하고 준비할 사항에 대해 논의했으며, 이 차장으로부터는 "최악의 사태에 대비해국무조정실과 업무 분담, 한계, 수행 등을 협조하겠다"는 보고를 들었다고 김덕봉(金德奉) 총리 공보수석이 전했다. 고 총리는 또한 탄핵소추안이 국회를 통과한 직후인 정오께 윤영철(尹永哲) 헌법재판소장에게 전화를 걸어 "국민불안 등을 감안해 가능한 한 신속하게 심리해 달라"고 주문했다. 이어 고 총리는 정부 중앙청사 집무실에서 도시락으로 점심을 떼우며 국방부,행정자치부, 재정경제부 순으로 비상대책을 잇따라 보고받고, 국정혼란 및 국민불안을 최소화하기 위한 지침을 하달했다. 고 총리는 먼저 허성관(許成寬) 행자장관과 유보선(兪普善) 국방차관으로부터안보 및 치안관계와 관련한 보고를 청취한 뒤 군과 경찰의 경계태세 강화를 각각 지시했다. 또한 이헌재(李憲宰) 부총리겸 재정경제부 장관을 면담한 자리에서는 "경제에대한 충격을 최소화하고, 한국의 대외신인도가 흔들림이 없도록 경제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해 달라"고 지시했다. 고 총리는 이들 3개 부처의 보고가 끝난 직후인 오후 1시30분 경제.외교.안보장관 간담회를 소집, 탄핵소추안 가결에 따른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행정 각부가 흔들림없이 국정수행에 임해줄 것을 당부했다. 이날 회의에는 이헌재 경제부총리, 안병영(安秉永) 부총리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허성관 행자장관, 강금실(康錦實) 법무장관, 한덕수(韓悳洙) 국무조정실장, 유보선 국방차관, 이종석 NSC 사무차장 등이 참석, 1시간여에 걸쳐 진행됐다. 고 총리는 이어 오후 3시30분에 임시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차질없는 행정업무 수행을 지시하는 동시에 이미 마련된 각종 정책의 계속 추진을 주문하는 등 어수선한내각 및 공직사회의 분위기를 다잡는데 주력했다. 이밖에도 정부 각 부처는 노 대통령의 탄핵소추안 가결로 인한 시장에서의 불안확산, 정책 불신, 공직사회의 복지부동, 갈등 극대화 우려 등을 조기에 불식시키기위해 자체적으로 긴급 대책회의를 갖는 등 긴박하게 움직였다. 탄핵소추안 가결이 주가 급락을 불러오는 등 바로 시장에 반영되자 이 경제부총리는 이날 오후 성명을 통해 "초유의 탄핵 사태를 맞아 경제부총리로서 국민 생활안정과 대외 신인도 확보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며 시장에서의 불안감 및 불확실성제거에 주력했다. 안 교육부총리도 직접 긴급회의를 주재하고 "교육개혁이나 사교육비 경감대책등은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고 계속 추진해야 하는 만큼 실.국장 등 모든 직원이 좀더 긴장해 흔들림 없이 하던 일을 계속하라"고 지시했다. 반기문(潘基文) 외교통상부 장관은 "외교정책의 기본 틀은 유지될 것이며 북핵과 한.미동맹 문제 등 주요 외교현안에 대해서도 일관성 있게 추진할 것"이라는 내용의 전보를 전 재외공관에 타전, 공관원들의 동요를 막았다. 아울러 합참 지휘부는 국민 우려를 증폭시키지 않기 위해 대북방어준비태세 등을 격상시키지 않은 채 만약의 사태에 촉각을 곤두세웠으며, 일선 군지휘관들 역시전원 정위치한 상태에서 경계태세를 강화했다. (서울=연합뉴스) 김범현기자 kbeom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