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인터넷강의 3개월 시험운영 ‥ 내달부터 수능강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교육방송(EBS)의 수능방송과 인터넷 강의가 예정대로 4월1일부터 시작되지만 인터넷 강의의 경우 시스템 안정을 위해 3개월간 시험 운영된다.
이는 준비기간이 부족해 취해진 조치로 이 기간에 동시접속자가 10만명을 넘을 경우 서비스 중단 가능성도 있다.
이에 따라 교육인적자원부는 인터넷 강의 이용시 스트리밍 서비스(실시간 재생)보다는 학교에서 다운로드 받아 보라고 권했다.
교육부는 15일 이 같은 내용의 'EBS 수능방송 및 인터넷 강의 중간 추진상황'을 발표했다.
교육부는 4월부터 51개 과목,5천1백5편의 수능강의(중급 3천8백5편, 초ㆍ고급 과정 1천3백편)를 방송과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무료 서비스한다.
방송으로는 중급 강의가 하루 11편이 제공돼 3번 방송되며 초ㆍ고급의 인터넷 강의는 하루 5편씩 3백Kbps용 동영상으로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제공한다.
교육부는 가정에서 인터넷 강의를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할지 여부에 대해서는 오는 25일까지 결정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인터넷 강의 동시 이용자가 최대 15만명으로 추정됨에 따라 이달 말까지 10만명이 동시에 접속할 수 있는 서버를 구축하고 향후 추가로 5만명이 접속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출 계획이다.
수능 강의와 내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 강의 내용과 교재 =고 1ㆍ2ㆍ3학년을 대상으로 수능에 출제되는 모든 영역의 모든 교과 강의를 제공한다.
또 직업탐구영역 및 제2외국어ㆍ한문영역을 제외한 모든 교과는 초ㆍ중ㆍ고급 등 3개 수준으로 나눠 강의한다.
특히 올해 수능시험은 EBS 수능강의에서 많은 부분이 출제된다.
현재 EBS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을 중심으로 구성된 '실무협의회'가 출제비율을 어느 정도로 할지, 강의 내용을 어떻게 변화시켜 문제로 출제할지 심층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방송은 중급 수준만 강의하며 방송 후 24시간 이내에 EBS 인터넷 홈페이지(www.iebs.co.kr)나 에듀넷(www.edunet4u.net)에 올려진다.
인터넷 강의는 초ㆍ중ㆍ고급 과정을 모두 제공한다.
방송 강의는 현직 교사가, 인터넷 강의는 교사 또는 학원강사가 진행한다.
초급과 고급 과정은 하루에 10편씩, 중급은 하루 11편씩 제공된다.
새 수능강의에 맞춘 교재는 3월 말 전국 서점에 배급된다.
값은 시중 참고서보다 저렴한 6천∼8천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수요가 적은 직업탐구, 제2외국어 등은 교재를 펴내기보다 인터넷에서 무료로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 이용 방법 =수능강의는 집, 학교에서 위성방송과 인터넷을 통해 볼 수 있다.
각 가정에서 인터넷 수능강의를 원활하게 보기 위해선 컴퓨터 하드웨어는 펜티엄Ⅱ급 2백33MHz 이상, 운영체제는 윈도98 이상, 인터넷 검색장치(브라우저)는 마이크로소프트 익스플로러5.5 이상, 동영상 구동장치(미디어 플레이어)는 윈도 미디어플레이어7.1 이상을 갖춰야 한다.
수능 전문채널 EBS플러스1을 통해 방송되는 중급 강의는 24시간 체제로 1일 3회 반복 방송되며, 주말에는 종합편이 방송된다.
강의일정은 EBS 홈페이지, 에듀넷 등을 통해 사전에 안내된다.
인터넷 강의는 모든 강의를 누적해서 제공한다.
교육부 관계자는 "학기 중에는 학교 강의를 주로 듣고 방학 중에 EBS 수능강의를 인터넷을 통해 집중적으로 공부하는 것도 좋은 학습방법"이라고 말했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