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착상태에 빠진 유럽연합(EU) 헌법 채택과관련한 논의가 곧 본격 재개돼 상반기 중에 타결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게르하르트 슈뢰더 독일 총리와 레체크 밀러 폴란드 총리는 23일 바르샤바에서정상회담을 한 뒤 공동기자회견을 열어 EU 헌법에 대한 합의가 "필요할 뿐아니라 가능하다는데 인식을 같이 했다"고 밝혔다고 공영 ARD방송은 전했다. 밀러 총리는 "EU는 공동의 위협에 대처하기 위한 헌법 제정이 필요하다"면서 가능하다면 아일랜드의 순번의장국 임기가 끝나는 6월 말 까지는 헌법안에 관련 논의를 끝낼 필요가 있다는데 양측이 동의했다고 말했다. 슈뢰더 총리도 양측이 조속한 합의 필요성에 인식을 같이했으며, 국토나 인구규모와 관계없이 모든 나라가 투표권을 가지는 것이 원칙이라면서 "폴란드가 EU 내에서 정치.경제.문화적 비중을 차지하고 싶어하는 것을 이해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논란의 핵심인 이중다수결 제도에 대해 "우리를 지탱해주는 중요한것이며 포기할 것이 아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그는 이중다수결제라는 목표를 포기하지 않은 채 폴란드가 중요하게 여기는 원칙을 실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두 정상은 "우리는 오늘 회담에서 `다양한 가능성들'에 대해 논의했으나 다수결기준 퍼센트 등에 대해서는 협의하지 않았다"면 구체적 회담내용을 밝히지 않았다. 독일과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등은 중요사안 지지국이 회원국 수의 50%, 회원국 전체 인구의 60%를 넘으면 의결할 수 있도록 한 헌법 초안 규정에 찬성하는 반면폴란드와 스페인 등은 소수 강대국이 전권을 휘두를수 있다며 반대해왔다. 이에 따라 지난해 12월 EU 정상회담에서 헌법안 채택이 무산된 이후 양 진영은물밑 교섭을 벌여왔으며, 회원국과 인구 모두 55%로 조정하는 방안 등 비공식 절충안들을 여러 통로를 이용해 제시해왔다. 특히 마드리드 테러 이후 실시된 총선에서 승리한 스페인 사회노동당 정권은 EU중시정책으로 복귀하고 헌법안에 대해 융통성을 발휘할 뜻을 밝히자 폴란드는 자국만 고립될 가능성을 우려 일정 수준에서 타협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베를린=연합뉴스) 최병국 특파원 choib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