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이머리 CBO(채권담보부증권)'의 만기연장 논의는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경쟁력 없는 회사에 대해 만기를 연장해 준다고 경쟁력이 생기는게 아니죠. 구조조정 차원에서 지금이라도 바로 잡아야 됩니다."(이장우 경북대 교수) "연장을 허용해 주는게 적절합니다. 기업들이 자금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개별기업의 문제라기 보다 내수경기침체가 주요인입니다."(오형근 벤처기업협회 부회장) 말많은 프라이머리 CBO가 처음 발행된지 오는 5월17일로 만 3년이 된다. 이는 벤처기업의 회사채를 토대로 발행된 채권담보부 증권이다. 기업들은 그동안 빌린 2조3천억원을 연말까지 순차적으로 갚아야 한다. 하지만 CBO의 만기를 앞두고 논란이 또다시 불거지고 있다. 돌아보면 CBO는 발행당시부터 상당한 논란을 낳았다. 일부 벤처전문가들은 '유례가 없는 지원책'이라며 반대했다. 반면 사장될 수 있는 첨단기술을 제품화하는데 공헌할 것이라는 평가도 많았다. 발행 이후 부작용도 있었다. "CBO는 부실벤처기업의 퇴출을 막았습니다. 그러다보니 가격경쟁이 더 치열해져 일부 업종의 경우 모든 기업들이 경쟁력을 잃어버리게 됐죠."(벤처캐피탈협회 김형수 부장) 반면 CBO를 통해 기틀을 마련한 벤처기업들도 적지 않다. KLS(코리아로터리서비스)나 인터파크, 오성LST 등은 CBO를 통해 선두권으로 도약했다. 만기가 다가오면서 CBO에 대한 논란은 '회수규모'로 옮겨붙었다. 일각에선 발행액 2조3천억원중 상당액이 회수되지 못할 것으로 보고 있는 반면 또 다른 벤처기업 관계자는 일부 기업만이 상환불능의 문제가 생길 것이라고 반박하고 있다. 최근에는 만기 연장 여부로 논란을 빚고 있다. 정작 돈을 빌린 벤처기업들은 그 논란의 끝이 어디가 될지 오늘도 가슴을 졸이며 지켜보고 있다. 고경봉 벤처중기부 기자 kg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