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통상부가 오는 7월부터 새로운 계급제도를시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14개 보수등급을 4개 계급으로 대분류해 현행 직위분류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전해졌다. 외교부 관계자는 31일 "봉급 산출의 기준이 되는 보수등급이 모든 보직의 '자리값'으로도 매겨져 있기때문에 비슷한 보직이라도 자리 값이 더 낮은 곳에 가기를 꺼리는 경향이 있어 인사가 쉽지 않다"며 "이에 따라 보수등급을 몇개씩 묶어 하나의계급군으로 정해 인사의 융통성을 높이는 방안을 강구중"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계급은 가칭 대사급, 공사급, 참사관급, 1∼3서기관급 등 4개 등급으로 분류할 방침"이라며 "즉 보수등급과 계급등급을 분류하는 개념이라고 볼 수있다"고 덧붙였다. 예를 들어 지금까지는 10등급 보직에 있던 외교관을 9등급 보직에 발령할 경우반발하는 경우가 있었지만 9∼10등급을 한데 묶어 공사급으로 분류해놓으면 인사저항이 덜 할 것이란 이야기다. 외교부는 지난 2001년 7월 도입된 직위분류제가 3년간의 경과기간을 거쳐 7월부터 정식시행되는 시점에 맞춰 이같은 계급 대분류제를 시행할 방침이다. 외교부는 지난 28일 외교안보연구원에서 최영진(崔英鎭) 차관 주재로 전.현직인사담당 간부 워크숍을 열고 인사 및 조직개편 현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했다. (서울=연합뉴스) 추승호 기자 chu@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