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조흥.한미 자체 모기지론 '善戰'.."주택금융공사 모기지론과 경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주택금융공사의 모기지론을 취급하지 않는 신한·조흥·한미·대구·부산 등 5개 은행들이 자체 개발한 장기주택담보대출 상품을 내놓고 영업을 강화하고 있다.
31일 금융계에 따르면 신한·조흥은행이 지난 2월16일 출시한 장기모기지론은 이날까지 총 7천60억원어치가 판매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출시 초기에는 대출이 부진했으나 주택금융공사 모기지론이 출시된 지난 3월25일을 전후로 하루에 3백억원 이상씩 나가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리가 낮고 금리변동 주기나 상환방식을 고객이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만든 점이 주효한 것 같다"고 분석했다.
신한·조흥은행 모기지론의 금리는 현재 연 5.4%(최저금리 기준) 수준으로,주택금융공사 모기지론(최저 연 6.5%)보다 1.1%포인트 낮다.
한미은행도 1일부터 자체 개발한 장기대출 상품인 '굿뱅크장기모기지론'을 취급한다.
만기가 10∼30년인 이 상품도 금리변동 주기와 상환방식을 고객이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최저금리는 연 5.62%가 적용된다.
지방은행 가운데 대구은행과 부산은행도 자체 모기지론을 개발해 판매하고 있다.
주택금융공사 모기지론의 출시일(3월25일)에 맞춰 내놓은 대구은행의 'DGB장기모기지론'은 1년 변동금리를 적용한 대출상품이다.
지난달 17일부터 '부은장기모기지론'을 취급하고 있는 부산은행은 연 5.42%의 낮은 금리를 적용,지금까지 총 38억원의 대출실적을 올렸다.
한편 주택금융공사 모기지론은 △상환방식이 원리금분할 한 가지라는 점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다는 점 등 때문에 당초 예상보다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출시 이후 지금까지 하나은행 3백83억원,국민은행 60억원,우리은행 30억원 등 총 대출승인액이 5백억원가량에 머물고 있다.
금융계 관계자는 "아직 초기단계라 속단하긴 어렵지만 신한·조흥 등 5개 은행이 자체 개발한 모기지론의 경쟁력이 만만치 않다"며 "향후 주택금융공사 모기지론과의 경쟁이 주목된다"고 말했다.
조재길 기자 ro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