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물가급등] 서민생계 갈수록 '빡빡'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현실화된 물가 불안으로 서민 살림살이가 더욱 힘겨워지고 있다.
이로 인해 소비경기 회복이 지연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졌다.
국내 경제가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상승)의 늪에 빠져 장기 침체로 갈 수 있다는 분석도 고개를 들고 있다.
현재로서는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원유 감산 결정이 국제유가 흐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가 향후 물가 안정의 최대 관건이 될 전망이다.
국제유가가 고공 행진을 지속할 경우 예년과 달리 2분기(4~6월) 이후에도 소비자물가 상승세는 이어질 수밖에 없다.
◆ 교육비 급등이 부추긴 물가
통계청은 3월 소비자물가가 전달에 비해 큰 폭으로 오른 주된 이유는 신학기를 맞아 각급 학교의 납입금이 크게 올랐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교육비가 전체적으로 전달보다 4%(전년 동월 대비 5.2%)나 오른 가운데 국ㆍ공립대(10.9%) 유치원(8.2%) 전문대(7.7%) 사립대(7.1%) 중ㆍ고교(4.5%)의 납입금도 전달과 비교해 큰 폭으로 상승했다.
입시학원비(종합반)도 2.8%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작황이 부진한 농ㆍ축ㆍ수산물과 함께 국제 원자재가격 상승의 영향을 받은 일부 공산품 가격도 오름세를 나타냈다.
전체 농ㆍ축ㆍ수산물 가격이 전달보다 2.7% 뛰어오른 가운데 닭고기(44.7%) 귤(22.2%) 달걀(11.2%) 돼지고기(10.2%) 감자(10.7%) 사과(6.4%) 등의 가격이 폭등했다.
공산품 가운데는 PVC창틀(14.5%)이 가장 많이 올랐고 고속도로 통행료도 6.9% 상승했다.
개인서비스 요금은 1.8% 올랐다.
반면 국제유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휘발유(0.7%)와 등유(0.4%) 등 기름값은 상대적으로 가격 오름폭이 작았다.
통계청 관계자는 "올 초 국제유가 상승분이 지난 2월에 이미 상당부분 반영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 체감물가는 지표물가의 두배
전체 소비자물가는 전달보다 1% 올랐지만 소비자들이 일상 생활에서 자주 구입하는 식료품 등 생활물가 상승률은 1.6%로 상승폭이 훨씬 높게 나타났다.
지난 2월(0.7%)보다 두배 이상 높을 뿐 아니라 작년 3월에 비해서도 3.8%나 뛰었다.
올들어 1∼3월 누계 생활물가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1%나 상승했다.
주부들의 장바구니 물가 상승률은 더 높게 나와 체감물가와 지표물가의 괴리가 갈수록 벌어지는 추세다.
생선류 채소류 과실류가 포함되는 신선식품은 전달보다 무려 2.6%, 작년 동월 대비 6.7% 급등해 서민 가계의 주름살을 깊게 했다.
이에 따라 서민들이 체감하는 물가만 따지다면 물가 수준은 이미 정부 목표치(연간 3%대)를 훨씬 넘어선 상황이다.
◆ 물가 안정 관건은 국제유가
정부는 국제유가가 배럴당 1달러 상승하면 3개월 안팎의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를 0.15%포인트가량 끌어올리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에 따라 OPEC의 원유 감산 결정이 국제유가 상승 흐름으로 이어진다면 소비자물가 안정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여기에다 여전히 안정을 찾지 못하고 있는 국제 원자재가격 흐름도 물가 안정을 위협하는 요인이다.
김봉익 재정경제부 물가정책과장은 "국제유가와 국제 원자재가격 동향이 향후 국내 물가 수준을 결정하는 최대 변수가 될 것"이라며 "유가가 안정세를 찾는다면 올해 3%대 물가 안정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전망"이라고 말했다.
그는 "향후 공공요금 인상 요인은 택시요금 정도"라며 "4월 이후에는 농산물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보이고 개인 서비스는 소비 수요가 적어 우려할 정도는 아니다"고 설명했다.
한편 한국석유공사 관계자는 "OPEC의 감산 결정에 따른 당장의 충격은 없는 것으로 보이지만 확실한 유가 흐름은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수언 기자 soo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