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을 앞두고 각 당의 장밋빛 경제 공약이 쏟아지고 있지만 국내 경제는 고(高)실업,고유가,고물가 등 겹겹의 악재에 시달리고 있다.


소비자물가가 지난달 한 달 동안 1%나 치솟는 등 오름세를 지속하면서 서민생활을 크게 압박하고 있는 상황이다.


대량 실업과 3백82만명에 달하는 신용불량자 문제로 시달리고 있는 경제에 또 하나의 악재가 추가된 셈이다.


물가가 뛰면 '소비 위축→내수 침체 장기화→경기 회복 지연'으로 이어져 신용불량자,가계부채,청년실업 등 경제 현안 해결을 한층 어렵게 만들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물가 관리에서 가장 걱정되는 부분이 국제유가 등 원자재 가격이다.


1분기 중 국제유가(두바이유 기준)는 평균 배럴당 29.4달러로 지난해 평균치(26.8달러)보다 2.6달러(8.8%)나 웃돌았다.


정부는 2분기 이후 유가가 안정될 것으로 낙관하고 있지만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추가 감산 결정 가능성 등 변수 때문에 속단할 수 없는 상황이다.


정부는 이 같은 고유가로 인해 최근 마냥 떨어지고 있는 원·달러 환율을 적극적으로 막지 않고 있다.


원·달러 환율은 대통령 탄핵일인 지난달 12일 1천1백80원80전에서 20일 만에 1천1백40원선으로 무려 40원 가까이 떨어졌다.


원화 강세(환율 하락)가 수출기업에 악재로 작용한다는 점이 정부의 고민거리다.


원·달러 환율이 중소 수출기업들의 채산성 마지노선이라는 1천1백80원선을 지나 1천1백40원선까지 떨어져 있는 상황이어서 고민은 더욱 크다.


경제 전문가들은 이런 악재에 겹쳐 총선이 또 다른 경제의 걸림돌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일관된 정책 시행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박수진 기자 parks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