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을 앞두고 여야가 장밋빛 경제공약을 봇물처럼 쏟아냈다. 그러나 표를 얻는데 급급한 나머지 현실성과 타당성이 결여된 공약이 많아 나라경제에 오히려 부담만 주는 것은 아닌지 우려가 적지 않다. 정책기조와 관련 열린우리당은 성장과 분배의 조화를 강조했고 한나라당과 민주당은 성장우선 전략을 제시했다. 기업정책에선 여당은 지배구조 개선과 투명성제고에 비중을 두었고 야당은 상대적으로 친기업적 성향이 강한 편이다. 하지만 개별공약으로 들어가면 감언이설식 내용이 많다는 점에서 차이가 없다. 어려운 서민생활을 의식한듯 경제·민생을 우선적으로 챙기겠다고 강조했지만 예산확보방법 등 실현수단이 결여된 경우가 허다하다. 임대주택 1백50만호 건설,전국민 연금제 시행 같은 것들이 대표적이다. 사회적 현안인 일자리 창출문제나 신용불량자 관련 공약도 설득력이 떨어지긴 마찬가지다. 각 당은 공공부문의 채용을 대폭 늘려 실업문제를 완화하겠다지만 이는 근본대책이 되지 못할 뿐 아니라 '작은 정부'약속에도 어긋난다. 실업 해결은 기업활력회복을 통한 일자리 창출외에 다른 방법이 있을 리 없다. 배드뱅크 설립이나 국민기금조성 등을 통해 풀겠다는 신용불량자 대책도 모럴 해저드를 더욱 조장할 것이 틀림없다. 실업고 전면 무상교육,기초생활보장대상자 대폭 확대 등의 공약도 경제에 또다른 부담만 지울게 뻔하다. 그렇지 않아도 우리경제는 장기불황에다 원자재난까지 겹쳐 유례없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런 판에 총선이 새로운 도약의 계기가 되기는커녕 경제적 혼란을 부추기고 국가경제의 성장잠재력을 훼손하는 결과로 이어져선 결코 안될 말이다. 때문에 유권자들은 어느 쪽의 공약이 보다 현실성이 있고 시장경제원리에 충실한지 냉철하게 심판하는 자세를 보이지 않으면 안된다. 특히 정부는 무책임하게 장밋빛 공약을 남발하는 정치권의 움직임에 흔들리지 말고 일관된 정책기조를 유지해 나가야 함은 새삼 강조할 필요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