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함평군 나산면에 사는 박현순씨(60)는 할아버지 때부터 아들까지 4대에 걸쳐 1백10여 년 동안 오고간 편지 1만여 점을 보존하고 있다. 박씨가 보관 중인 편지는 구한말과 일제시대에 할아버지가 모은 편지 1천여 점과 일제시대 때 아버지가 모은 편지 3천5백여 점 등이다. 특히 박씨의 할아버지 박봉혁 선생(1873∼1935)이 다른 지역에서 활동하던 선비들과 주고받은 서신은 당시 학자들의 관심과 일제에 나라를 빼앗긴 선비들의 시국관을 보여주고 있어 역사적 가치가 높다. 당대 호남의 석학으로 꼽혔던 박봉혁 선생은 1905년 을사보호조약이 체결되자 목숨을 걸고 반대상소를 올렸고 ,1934년 우국충정을 담은 '영언전'(永言傳)을 집필한 선비로 알려졌다. 아버지 역시 일제시대 학자로 유명했다. 박씨는 "할아버지 편지가 모두 한자로 돼 있는데 아직까지 해석을 못한 채 보관하고 있는 점이 아쉽다"면서 "조만간 한학에 조예가 깊은 분에게 내용 해석을 의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최규술 기자 kyusu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