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와 농촌을 막론하고 경관을 해치는 주범으로 지목되는 간판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사업에 문화관광부가 적극 나선다. 이창동 문화관광부 장관은 12일 오후 대통령 권한대행 고건 총리에게 "행정자치부, 지방자치단체 등과 협력해 민간부문은 물론 공공부문의 옥외광고물 정비작업을올해부터 문화관광부가 적극 추진하겠다"고 이 사업을 올해 주요 업무현안의 하나로보고했다. 이 장관은 업무보고에 앞서 이날 오전 언론 브리핑을 통해 "어느 학자가 '우리나라 문화는 역전문화'라고 말했듯이 근대화 과정에서 우리 사회가 오랜 '정주문화'가 '뜨내기 문화'로 바뀌었다"면서 "그것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지금의 어지러운 간판문화여서 이를 바꾸는 일은 삶의 공간을 본질적으로 바꾸는 것"이라고 사업 추진배경을 설명했다. 이 장관은 "간판정비 사업은 생계와 직결된 문제여서 이를 바꾸려면 저항과 갈등이 생길 수 있다"면서 "처음부터 행정력을 동원해 일률적으로 바꾸기보다 일정 지역을 시범지역으로 선정한 뒤 사업범위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문화관광부는 우선 부산 중구 광복로 일대를 시범지역으로 선정, 가게당 3-4개씩 걸려 있는 간판을 1개로 줄이되 도시디자인, 설치미술.공공미술 작가나 대학 등에 제작을 의뢰해 예술작품에 가까운 간판을 설치할 계획이다. 이 장관은 "광복로를 가로등, 보도, 가로수 등과 일체감을 이루는 간판예술 명물거리로 조성함으로써 간판정비 사업이 상인들에게 경제적 이익을 준다는 것을 인식시키도록 하겠다"면서 "광복로에 이어 올해중 서울 강북지역의 아파트 밀집지역상가와 유명사찰 입구 관광지를 각각 한곳씩 시범지역으로 선정해 간판정비 사업을벌이겠다"고 덧붙였다. 문화관광부는 관계부처와 협의해 시민들에게 행정논리를 강요하는 내용의 공공기관 현수막이나 간판의 난립을 막는 사업도 올해 펼칠 계획이다. (서울=연합뉴스) 정천기 기자 ckchu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