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전문인력,일본은 시장점유율,중국은 시장 성장성.'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이 시장규모,산업인프라와 경영여건,업계 종사자와 전문가,기업가 등 아홉가지 주요 변수를 종합 평가해 한·중·일 3국의 문화콘텐츠산업 경쟁력을 분석한 결과 나타난 각국의 강점이다. 진흥원은 한국은 창업가의 존재,신규 창업의 용이성,전문인력의 사회적 지위,전문학교,정부 정책 등의 인적 요인과 인터넷 보급률 및 상품에 대한 정보접근 용이성 등의 물적 요인이 뛰어난 것으로 분석됐다고 12일 밝혔다. 이에 비해 일본은 시장점유율과 기반시설,중국은 저임금 단순인력과 시장 성장성이 경쟁 우선 요인으로 파악됐다. 또 아홉가지 변수를 평가해 각국의 문화콘텐츠산업 경쟁력 지수를 산출한 결과 80을 만점으로 할 때 일본이 68.15,한국 57.21,중국 36.44을 기록했다. 산업 장르별 경쟁력도 애니메이션 음반 게임 영화 등 4개 분야에서 모두 일본이 선두를 차지했고 중국은 일본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애니메이션의 경우 일본은 10점 만점에 8.83,한국 7.38,중국 4.34로 나타났고 영화는 일본 8.31,한국 6.90,중국 4.45였다. 진흥원 정책팀의 이병민 과장은 "애니메이션의 경우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기획전문가 육성,음반은 배급 기반시설 등 인프라 부문의 경쟁력 제고,게임은 선진기술 선점을 위한 투자와 지원,영화는 창작 및 보급시설 관련 인프라 확충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서화동 기자 fire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