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칼럼> 향토산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경기도 여주에 있는 한 마을은 도시민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이곳에서는 계절에 따라 감자캐기,버섯수확,메주만들기는 물론 지게를 진다거나 경운기를 모는 체험 등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방문객들은 마을 주민들이 생산한 과일과 농산물을 사기도 한다.
가족끼리 민박하는 사람도 많아 아침이면 탁 트인 산책로를 걷고 밤에는 천문대에서 별자리를 살핀다.
이런 녹색여가체험의 현장은 30호 남짓한 마을사람들의 아이디어와 당국의 지원으로 성공을 거두었다.
관광산업의 일종인 '그린투어리즘'인 셈이다.
지금 전국 각지에서는 주민 소득증대 사업의 하나로 유·무형의 향토산업발굴이 한창이다.
그 지방의 특색을 살려 차별화된 상품화를 시도하는 것이다.
한산모시,안동포,고성의 세라믹,영주인삼가공품,함양의 옻,전주 이강주와 문배주 등 전통민속주,전통음료 및 염료 등 이루 셀 수 없을 정도다.
고려청자 조선백자 분청사기 등 전통도자기와 옹기도 재현되면서 향토산업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하회탈 등 문화재를 활용한 문화상품은 수출상품으로도 인기가 높다.
선진국에서는 오래 전부터 향토산업을 발굴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꾀하고 있다.
주민들 스스로가 앞장서 아무리 하찮은 것이라도 전통을 살려 상품을 만들고 주변경관을 살려 관광명소로 만들곤 한다.
일본에서는 1979년부터 시작된 농촌지역의 일촌일품(一村一品)운동이 큰 성과를 거두고 있는데 상당수 상품들이 소비자들의 신뢰를 얻고 있다고 한다.
국내 향토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해 행정자치부가 '향토자원개발촉진법'을 올해 중 제정한다는 소식이다.
우선 이달 말까지 전국 지자체를 통해 참여할 대상자를 신청받아 성장가능성이 높은 향토사업을 선정,자립기반을 갖출 때까지 인프라 구축 등 행정·재정적 지원을 해준다는 것이다.
일자리를 찾아 수도권으로 몰려들고 지자체의 재정자립도가 갈수록 악화되는 현실을 감안할 때,향토산업육성은 세수증대와 주민 소득증대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효과적인 대안이 될 듯 하다.
문제는 향토산업에 대한 주민들의 자발적인 의지다.
박영배 논설위원 youngba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