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이후 부동산시장] <上> 토지시장‥"행정수도 후보지 강보합 예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문가들 대부분은 이번 총선 결과가 토지시장에 악재로 작용하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오히려 일부에서는 호재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따라서 행정수도 이전 후보지와 고속철도 역사 주변, 수도권 개발지역 인근의 땅값은 여전히 강보합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지난해 이후 투기열풍이 불었던 일부 개발예정지의 땅값은 거품이 걷히면서 조정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전문가들은 또 정부의 부동산대책이 지금보다 훨씬 강화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분위기에 휩쓸린 '묻지마 투자'는 금물이라고 조언했다.
◆ 경기부양이냐 투기억제냐가 변수
토지시장 전문가들은 정부가 '경기부양'과 '투기억제'라는 두마리 토끼 잡기에 나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서민들의 정서를 감안하면 부동산시장을 철저하게 억눌러야 하지만 외환위기 때보다 더 얼어붙었다는 내수경기를 마냥 외면할 수만도 없기 때문이다.
정광영 한국부동산경제연구소 소장은 "부동산은 경기부양책 가운데 빼놓을 수 없는 메뉴"라며 "총선 이후 정부가 경기부양에 적극 나설 경우 토지시장은 다소 활기를 띨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지역적으로는 행정수도 이전 후보지들이 이번 총선 결과를 가장 민감하게 받아들일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봤다.
탄핵사태가 원만하게 마무리되면서 행정수도 이전이 차질없이 진행될 것이란 기대감이 높아져서다.
또 총선에 묻혀 빛을 발하지 못했던 경부고속철도 개통 재료도 역사 주변지역 토지시장에서 새롭게 호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측됐다.
그러나 열린우리당의 개혁성향에 무게를 두는 전문가들은 토지시장에 대한 규제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점치면서 토지시장의 위축을 예상했다.
이들 전문가들은 정부가 토지공개념 도입을 통해 개발이익 환수에 나설 것임을 예고한 만큼 토지시장이 다시 깊은 침체에 빠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천안ㆍ아산시와 공주시, 연기군, 청원군 등 지난해부터 충청권 토지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지역들에선 총선 결과가 시세에 즉각 반영되지는 않고 있다.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매수세가 없는 가운데 호가는 떨어지지 않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현지 중개업소 관계자는 "땅주인은 물론 땅을 사려는 사람들도 당분간은 관망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땅은 장기투자 관점에서 접근해야
토지시장 전문가들은 땅은 5년 안팎을 내다보는 장기투자인 만큼 총선 결과에 너무 민감하게 반응할 필요가 없다고 입을 모았다.
투자가치가 있는 지역에 여유자금을 묻어둔 뒤 잊어버리라는 주문이다.
단기차익을 노리고 무리하게 자금을 조달하면서까지 투자에 나서서는 안된다는 지적이다.
현도컨설팅의 임달호 대표는 "행정수도 이전계획의 구체화와 경부고속철도 개통, 정부의 신국토구상 등은 땅시장의 판도를 바꿀 재료들"이라며 "이 같은 변환기가 기회라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JMK플래닝의 진명기 대표는 "천안ㆍ아산지역에서 올해부터 4조5천억원 규모의 보상금이 풀리는 등 토지시장을 들썩일 수 있는 재료는 여전히 산재해 있다"며 "아무 땅이나 무차별적으로 매입하는 융단폭격식 전략보다는 특정지역의 가치 있는 땅을 골라 공략하는 '스마트 폭탄'식 투자전략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조성근 기자 trut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