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에서 일본인 인질 5명의 무사석방을 계기로 고이즈미(小泉) 정권에 대한 일본 국민의 지지도가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도통신이 지난 16-17일 이틀간 전국의 성인 1천 명을 대상으로 전화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고이즈미 내각에 대한 지지율은 인질 사건이 발생한 직후인 지난 9-10일의 조사에 비해 7.2% 포인트 상승한 55.6%에 달한 반면 지지하지 않는 비율은 32.5%로 6.8% 포인트 감소했다. 또 납치사건에 대한 정부의 대처를 '평가한다'는 응답비율은 68.4%로 '평가하지않는다'의 22.1%를 크게 웃돌았다. 납치단체의 자위대 철수요구를 정부가 거부한 것에 대해서도 61.3%가 '타당했다'고 답했으며 '타당하지 않았다'는 8.8%에 그쳤다. 지난 9-10일 조사에서는 '타당'과'타당하지 않음'이 각각 45.2%, 43.5%로 팽팽했었다. 자위대의 이라크 파견에 대한 찬성 의견은 53.2%에 달해 지난 1월 육상자위대가이라크로 파견된 이래 실시됐던 수차례에 걸친 교도통신의 여론조사 가운데 첫 과반을 기록했다. 이라크에서 일본인 사상자가 나오는 사태가 발생할 경우에도 '고이즈미 총리의정치적 책임은 있지만 퇴진할 필요는 없다'가 57.2%로 '퇴진해야 한다'의 19.7%를크게 웃돈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고이즈미 총리가 견지해온 미국과의 협조노선에 대해서는 '검토해야 한다'가 57.1%로 '계속돼야 한다'의 36.6%를 웃돌아 일각에서 '미국 추종주의'라는 비난을 듣고 있는 일본 정부의 대외정책에 대한 불만이 드러났다. 앞서 아사히(朝日) 신문이 지난 16일 전국의 1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화 여론조사에서도 응답자의 73%가 납치단체의 자위대 철수요구에 응하지 않은 일본 정부의 태도는 '올바른 결정이었다'고 대답했다. (도쿄=연합뉴스) 신지홍 특파원 shi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