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인명구조 로봇, 지능형 자동차, 차세대 융합 휴대단말기 등 48개 차세대 성장동력 제품을 앞으로 5년안에 개발키로 했다. 이를 위해 올해 4천49억원을 투입, 1백41개 기술과제를 집중 연구하기로 했다. 정부는 20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과학기술부 산업자원부 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문화관광부 건설교통부 해양수산부 기획예산처 등 관계부처 장관들이 참석한 가운데 제1회 차세대 성장동력 특별위원회를 열어 이같은 내용의 차세대 성장동력 추진계획을 확정한다고 과기부가 19일 발표했다. 1백41개 기술과제는 5년 이내에 시판이 가능한 제품 개발을 지원할 수 있는 분야를 중심으로 선정됐다고 과기부측은 설명했다. 관계 부처별로는 과기부가 8개 기술과제에 2백50억원을, 산자부가 57개 과제에 1천4백54억원을, 정통부가 8백62개 과제에 2천1백93억원을 각각 투입할 계획이다. 또 복지부는 9개 과제에 1백25억원을, 농림부는 1개 과제에 20억원을 각각 투입키로 했다. 정부는 과학기술정책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산하에 차세대 성장동력 추진 특별위원회를 설치, 관련 사업을 총괄토록 했다. 특별위원회 공동위원장은 오명 과기부 장관과 이헌재 재정경제부 장관이 맡고 문화부 농림부 산자부 정통부 복지부 건교부 해수부 기획예산처 장관이 정부위원으로, 황우석 서울대 교수 등 10명이 민간위원으로 각각 참여한다. 이들 민간위원은 10대 산업별 실무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산업별 추진계획 수립 등을 맡게 된다. 과기부 차관을 위원장으로 하고 관계부처 1급 공무원과 산ㆍ학ㆍ연 전문가가 참여하는 차세대 성장동력 총괄 실무위원회는 신규산업 발굴, 특별위 안건상정 사전조정 등의 기능을 맡는다. 또 차세대 성장동력의 산업별 정보교류, 정책 건의, 워크숍, 세미나 개최 등을 맡는 '차세대 성장동력 포럼'이 5월 중 발족된다. 오춘호 기자 ohc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