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업계-포스코 후판 논쟁 2라운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원자재 부족으로 한 바탕 후판 수급 전쟁을 치렀던 조선업계와 포스코가 중장기 수급전망을 놓고 또 한 차례 격론을 벌이고 있다.
1라운드에서는 포스코가 후판 공급을 일부 늘려주는 쪽으로 결론이 났지만 2라운드에서는 조선업계가 증설까지 요구하고 나서 한치의 양보도 없는 팽팽한 신경전이 이어지고 있다.
조선업계의 주장은 포스코가 다른 생산물량을 줄이고 후판 생산을 늘려야 하며 후판 공급부족 현상이 이미 기조로 굳어진 만큼 증설도 서둘러야 한다는 것이다.
포스코는 그러나 후판 부족 현상은 중국 원자재 수요에 따른 일시적 현상인 만큼 국내 증설은 곤란하다는 입장이다.
◆급증하는 후판 수요
조선업계의 지난해 수주는 1천8백27만CGT(표준화물선 환산톤수).
2002년 7백60만CGT보다 2배 이상 늘어난 물량이다.
이에 따라 후판 수요도 크게 늘어나고 있다.
조선업계가 예상하는 올해 후판 수요는 4백57만t.
2007년에는 5백1만t까지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포스코(1백53만t)와 동국제강(1백50만t)의 생산능력에는 변화가 없다.
따라서 후판의 수급차질 규모는 올해 54만t,2007년 98만t 등으로 꾸준히 확대될 것이라는 게 조선업계의 하소연이다.
포스코는 그러나 조선업계의 주장을 일축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가수요가 붙어있는 현실을 무시하고 후판 생산량을 늘리면 다른 제품 수요처만 피해를 볼 뿐이라는 주장이다.
포스코는 이미 열연코일 생산량 11만t을 후판으로 돌리고,공정개선으로 증산하는 후판 14만t 등을 조선업계에 우선 공급키로 한 만큼 나머지는 수입을 통해 수급 문제를 해결해야 할 것이라는 입장이다.
포스코 관계자는 "내년 중국의 바오산철강이 2백만t 규모의 후판공장을 가동하고 일본도 1백만t 정도의 후판공급 여력이 있음에도 조선업계가 원자재 수입가격 상승을 이유로 포스코에만 물량을 요청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포스코 증설 논란
조선업계의 주장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는다.
후판 부족 현상은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는 얘기다.
조선공업협회 관계자는 "조선용 후판 사용량 증가는 기조적 현상"이라며 포스코가 증설에 나서야 한다고 요구했다.
특히 국내 조선업계가 계속 국제경쟁력을 유지하려면 안정적인 후판 공급이 전제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조선업계는 포스코가 증설하지 않는다면 '제2제철소'를 정부가 허용해 제3의 투자를 유도해야 한다는 압박까지 가하고 있다.
포스코는 그러나 국내 증설은 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국내에 건설할 경우 최소 4조원의 투자와 3년 이상의 건설기간이 필요한데 막상 지어놓고 나면 설비과잉이 우려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포스코는 대신 10년이내에 해외에 종합제철소를 건설하겠다는 장기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이구택 포스코 회장도 "세계적인 설비과잉 상황에서 중국의 갑작스러운 수요 증가로 철강재 부족현상이 빚어졌지만 중국의 경제성장이 주춤하면 철강가격 폭락세가 나타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나 조선업계는 포스코가 해외에 제철소를 지을 경우 후판 수입에 따른 비용 상승이 우려되며 국내 제조업 공동화 현상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고 반박하고 있다.
양측은 이에 따라 후판 수요조사를 공동으로 진행하고 생산능력 증대 가능성을 협의키로 했으나 양측의 입장 차이가 커 논란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정태웅 기자 redae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