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기업유치' 발벗고 뛴다] (13) 충북 오창 '투자유치대책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최근 5년간 연평균 적설량과 강우량,습도,분진 등 기상 및 환경 데이터와 토양성분 등 30여가지 관련 정보를 정확하게 체크해 알려주십시오."
LCD컬러레지스트를 생산하는 일본계 기업 JSR마이크로코리아가 지난 2002년 충북 오창첨단과학산업단지 투자상담 자리에서 충청북도 기업유치 특별대책반에 요구한 사항이었다.
이뿐 아니다.
이 회사는 공장 착공이 가능한 정확한 시기와 인프라 유틸리티 세제 인센티브 노사관계 물류비용에 이르기까지 정확한 정보를 요구해왔다.
"최선을 다했다는 소리라도 듣자"며 몸으로 때우는 일부터 시작했다.
이들 기업인이 찾아오면 고속도로IC까지 마중과 배웅을 나갔다.
설명자료도 최신 내용을 업데이트하기 위해 인쇄도 하지 않은 채 제때 제때 제공했다.
2003년 5월12일 입주계약을 맺는 자리에서 JSR 요시다 사장은 "지리적 이점과 우수한 인프라도 매력적이었지만 무엇보다 공무원들의 적극적인 자세가 마음을 움직였다"고 털어놨다.
충북 청원군 오창면과 옥산면 일대 2백86만평 규모로 조성된 오창첨단과학산업단지에 일본계 기업들이 대거 입주해 있다.
치밀하고 까다롭기로 유명한 일본 기업인들을 능가하는 꼼꼼하고 조직적인 행정서비스를 펼친 충청북도 기업유치특별대책반 공무원들의 숨은 노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오창단지는 착공 1년만에 외환위기를 맞아 착공 당시 입주키로 한 10여개 기업을 빼고는 단지 준공을 눈앞에 둔 2000년 1월까지 단 1건의 입주상담도 없는 심각한 상황이었다.
이원종 충북 지사는 투자유치팀에 "공무원이 아닌 민간기업 영업사원처럼 뛰라"고 주문했다.
명함도 투자유치팀 국장은 본부장,과장은 실장,계장은 부장,직원은 차장 등으로 기업체처럼 바꿨다.
2003년 5월26일 계약을 마친 일본의 세계적인 자동차 부품생산업체 해리슨 도시바의 합작법인인 해리슨엔지니어링코리아도 우여곡절 끝에 오창단지에 둥지를 틀었다.
당시 해리슨 도시바는 신탄진과 울산 음성 등 모두 5군데의 부지를 놓고 저울질하고 있었다.
정보를 입수한 투자유치팀은 일본기업이라는 점을 감안,접근방식부터 달리했다.
일본 기업의 예상 요구자료보다 훨씬 더 자세하고 꼼꼼한 비교자료를 미리 만들어 오창단지의 비교우위를 설명했다.
결과는 뜻밖의 대어였다.
밤낮을 가리지 않고 찰거머리처럼 달라붙는 열정에 감동한 해리슨 도시바측은 최고 50년까지 무상 임대하는 파격적인 조건의 외국인전용단지를 마다하고 7천평을 아예 사버렸다.
게다가 합작회사가 한국에 1백% 현지 출자한 첫 케이스였고 실질투자금액이 1천억원이 넘을 것으로 예상됐다.
이 모든 과정을 주도했던 인물은 투자유치팀 마상운씨였다.
지난달 16일 청주 성모병원 영안실.마씨는 43세의 젊은 나이에 과로로 쓰러져 유명을 달리했다.
지병을 돌보지 않은 채 기업유치를 위해 밤을 새워가며 일한 피로가 누적돼 영영 일어나지 못했다.
마씨의 영결식엔 해리슨엔지니어링코리아의 중역인 황달현 이사도 참석했다.
까다로운 일본기업을 공략하는 노하우 덕분에 오창단지의 일본계 기업유치는 탄력을 받게 됐다.
잇달아 같은 해 6월24일 광학렌즈 제조업체인 MTM옵틱스가 자리를 잡았다.
또 12월2일에는 반도체제어형 회로제조업체인 스템코가 입주를 결정했다.
충청북도 기업유치특별대책반 공무원들의 유치 노력으로 현재 1백여개에 달하는 국내외 유수의 기업들이 입주해 있다.
청주=백창현 기자 chbai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