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 우리의 미래를 결정합니다.'


4월 과학의 달을 맞아 다채로운 과학문화행사가 펼쳐지고 있다.


과학의 날인 21일 서울 코엑스에선 오명 과학기술부 장관이 사이언스 코리아(Science Korea) 운동을 선포하고 과학기술 발전에 이바지한 유공자들에게 훈ㆍ포장 수여 및 표창을 한다.


전국 이공계 대학생 및 연구원 경연 한마당도 같은 장소에서 열린다.


국립중앙과학관 및 서울과학관에선 24일부터 이틀간 '2004 봄 사이언스데이' 축제가 펼쳐진다.


모든 사람들이 과학과 함께 하는 과학대중화 시대가 열리고 있다.


더욱이 참여 정부가 국가공약과제로 내건 과학기술 중심사회 구축의 하나로 일반인들의 과학 관심을 높이기 위한 사이언스 코리아운동이 본격 전개될 예정이어서 과학문화 확산에 힘을 더하고 있다.


시민단체를 포함한 일각에서는 국민들이 과학 향수권을 누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과학기술로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토대가 마련돼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과학문화 혁명의 여명이 싹 틔워지고 있는 것이다.



◆ 외국에서는 어떤가 =선진각국들은 이미 과학기술 대중화를 위해 앞다퉈 국가적 차원에서 캠페인을 펼치고 있다.


미국은 2061년까지 장기계획으로 전체 미국인의 과학적 소양을 넓히기 위한 '프로젝트 2061'을 추진하고 있다.


지방에 과학관을 설치하고 과학자가 대중강연에 나서는 등 과학기술 운동을 펼치고 있다.


과학관을 2천여개나 설립했으며 연간 입장객만도 8천만명에 이르고 있다.


영국도 지난 94년 정부 차원에서 과학공학기술 대중이해팀을 설치해 과학문화사업을 획기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일본도 과학기술이해증진운동 3개년 계획을 만들어 과학기술 진흥사업단을 발족했으며 2000년에는 과학 전문TV채널을 설립하기도 했다.


특히 중국은 건국 1백주년인 2049년까지 전국민을 대상으로 개발도상국 이상 수준의 과학적 소양을 보급한다는 목표아래 '2049 실행계획'을 꾸준히 추진하고 있으며 2002년에는 세계 최초로 '과학기술보급법'을 만들기도 했다.



◆ 국내 현황 =국내에서 본격적으로 과학 문화운동을 펼치기 시작한 것은 지난 2001년이었다.


정부는 과학기술기본 계획에 과학기술 문화부문 계획을 수립하고 한국과학문화재단을 과학기술문화 확산을 위한 전담기관으로 지정, 본격적인 과학문화운동을 펼치도록 했다.


이에 따라 과학에 대한 인지도가 조금씩 높아지고 있으나 아직은 관심도가 낮은 편이다.


특히 과학기술자의 과학문화 활동 참여가 소극적이며 과학관 보유율도 선진국의 10분의 1 수준에 불과한 실정이다.


방송 3사의 7백52개 프로그램(1주일)중 과학 관련 프로그램은 4편에 불과하다.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이해를 조사한 결과 한국의 '과학기술 주목층(관심이 있으면서 지식을 갖춘 사람)'은 4%로 미국의 10%에 비해 훨씬 적은것으로 나타났다.


IMD의 국가경쟁력 보고서에도 한국 젊은이의 과학기술에 대한 관심도는 세계 22위에 그치고 있다.



◆ 과학문화시대가 열린다 =정부는 과학기술인들의 과학기술문화활동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국가연구 개발사업비중 일부분을 과학기술문화활동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또한 사회 지도층과 여론형성층(사이언스 오블리주)을 위한 특별프로그램을 마련하며 과학홍보대사를 확대(현재 4백55명)하고 과학사랑모임을 결성하기로 했다.


정부는 특히 올해를 과학문화의 해로 선포하는 등 매년 특정분야에서 과학기술의 해를 지정, 이와 관련된 주제에 대해 학술회의를 여는 등 연중 행사를 개최할 예정이다.


2005년에는 물리의 해, 2006년에는 생물의 해, 2007년에는 화학의 해, 2008년에는 지구과학의 해로 삼는다.


쉽고 유익한 과학기술문화 콘텐츠를 늘리기 위해 아동 청소년 주부 직장인 등 계층별로 맞춤형 콘텐츠를 제작 보급하며 과학기술 문화산업의 성장기반을 조성할 계획이다.


아울러 국공립 과학관수를 현재 56개에서 2012년까지 1백개로 늘리며 지역별로 특성화된 공공 테마과학관 건설을 지원할 방침이다.


또한 정부는 과학기술문화 확산및 촉진에 관한 법률을 제정해 정부 민간 등 과학문화 확산 지원 근거 등을 제도화할 계획이다.


김용환 과학기술부 기획조정 심의관은 "과학문화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시점에서 정부는 과학기술문화의 제도 인프라를 우선적으로 정비할 계획"이라며 "과학문화 예산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는 방안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오춘호 기자 ohc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