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중립을 표방하는 공무원노조단체인 '전국목민(牧民)노동조합총연맹'(전목련)이 공식 출범했다. 이에따라 공무원 노조단체는 전국공무원노동조합(전공노)과 대한민국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공노총) 등 기존 2개에서 3개로 늘어났다. 특히 전목련은 정치적 중립을 핵심 강령으로 채택하는 등 기존 공무원노조와 성격을 달리하고 있어 이들 단체간 노동운동 방향이나 노선 등을 놓고 각축전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전목련은 20일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출범식을 갖고 공무원만의 독자노선을 지향하는 제3의 공무원노조단체로 첫발을 내디뎠다. 출범식에는 중앙부처 및 지자체 노조단체 임원단 등 5백여명이 참석했다. 전목련은 창립 조합원이 2만5천여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행정자치 교육 문화관광 등 12개 중앙부처 소속 2백명과 서울시청 및 구청 등 10개 자치단체 소속 3백명, 국립중앙박물관 등 중앙부처 직속기관 및 서울시 산하사업소 등 70여개 직장협의회 소속원 등이 참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목련은 주요 강령으로 △공무원 정치적 중립의무 준수 △민간노동단체를 배제한 공무원만의 독자노선과 자주적 노동운동 견지 △노동기본권 조기회복 △공무원 권익 및 지위향상 △공직사회 내부의 각종 차별철폐 등을 채택했다. 세부 실천과제로는 기관장 판공비의 주기적 공개추진과 공직부패 제로화운동 전개,불합리한 행정관행 철폐, 혈세낭비감시단 설치 등을 제시했다. 그러나 전목련의 출범으로 공무원 노조단체간 선명성 및 조합원 확보 경쟁이 본격화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무엇보다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을 내세우는 전목련과 정치적 참여 및 노동3권을 요구하는 전공노 등의 성향과 노선이 크게 차이가 나 이들 단체간 세력 대결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실제 전공노는 이날 성명서를 발표해 "전공노에 대해선 엄격한 법 적용을 해온 정부가 전목련에 대해서는 정반대"라고 주장했다. 공노총 이정천 위원장도 "국가 및 지방공무원법이 아직 개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공무원 노조단체 출범식이 중앙청사에서 열리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한국노동연구원 임상훈 연구위원은 "성격이 서로 다른 공무원 노조단체가 3개로 늘어나면서 경쟁이 심해질 가능성이 있다"며 "공무원의 공공성을 감안할때 그리 바람직한 현상은 아니다"고 지적했다. 김철수 기자 kcs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