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선거의 결산표를 보면 정치질서의 회복이라는 순이익을 시현했다고 분석할 수 있다. 지역주의의 부활이나 선거사범의 증가 등 영업손실, 즉 정치적 부채는 여전하지만 집권 여당에 안정기반을 제공하고 야당에는 견제의 발판을 허용해 정국운영의 책임과 견제의 균형을 보였다는 점에서 정치질서 회복이라는 수익을 올렸다고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총선 후의 최대 경제 이슈는 민생 경제를 살리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선 경제 질서를 확립하고 이를 토대로 일관성있고 예측이 가능한 경제정책의 실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동안은 탄핵정국과 선거정국이 맞물려 경제 질서는 혼란과 무원칙으로 흐트러졌으며 일부 경제지침이나 정책이 선거를 겨냥한 임시방편적이고 선심성이었다는 비난을 면키 어려운 점도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이제는 경제질서를 재확립해 경제의 현안 과제인 일자리 창출,신용불량자 대책,기업투자 활성화 및 부동산 대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선 첫째가 시장질서의 회복이다. 실물시장은 수출에만 의존하는 불균형이 계속되고 있으며 내수 시장은 부진을 거듭하고 있다. 최근 물가상승의 압력이 점점 늘어가고 있는 가운데 소비는 위축되고 있다. 물론 내수시장과 연계된 다른 한 축의 경제요소들, 즉 가계부채 실업 등의 근본적인 문제를 선결해야 되지만,확실하고 안정적인 내수진작의 처방이 필요한 시점이며 이를 통해 실물 경제의 질서를 바로잡아야 할 것이다. 또 LG카드 사태 등 금융시장의 질서를 뒤흔들었던 사고를 예외적이고 관주도하에 처리됐으나 이제는 시장원리를 통한 해결방법을 찾아야 하며 제2,제3의 LG카드 사태가 발생하더라도 시장의 게임룰과 원칙에 의해서 해결되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금융시장의 질서확립과 안정이 절실히 요구된다. 둘째는 노동시장 질서를 바로잡는 일이다.투쟁과 대립으로 점철됐던 노사관계도 이젠 변해야 한다. 노동시장의 유연성 내지 경직성이 투자,특히 외국인 투자의 최대 걸림돌로 작용해 왔던 건 주지의 사실이다.따라서 노사관계의 질서도 대립에서 타협과 상생의 관계로 발전돼야할 시점에 왔다.노동계의 국회진출로 노사문제의 제기와 해결이 장내에서 이뤄질수 있는 계기가 마련돼 다행스럽다고 할수 있다. 따라서 노사문제 해결방식의 업그레이드를 기대해본다. 셋째는 신용질서의 확립이다. 3백만명 이상의 신용불량자와 가구당 3천만원이 넘는 가계 부채 등 우리사회는 총체적 신용불량상태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배드뱅크를 통한 부실채권의 정리,신용카드 발급의 기준 강화 등 제도적인 처방이 필요하지만 무엇보다도 신용사회를 만들어가는 중장기적인 교육과 홍보,그리고 신용회복 프로그램이 마련돼야 할 것이다. 금융권이 신용 클리닉을 개설하고 운영해 신용불량자에 대한 상담 및 재활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도 고려해 볼 만하다. 넷째는 부동산 시장의 질서를 회복하는 일이다. 토지공개념의 기본 취지를 바탕으로 하는 주택거래신고제, 아파트 분양원가 공개,재건축 개발 이익 환수 등의 대책이 효과를 내기 위해선 다른 한편으로 부동자금을 흡수할 수 있는 부동산 투자시장 활성화 방안도 동시에 추진돼야 할 것이다. 부동산 펀드나 신탁을 통해서 큰손이나 소액 투자자들을 흡수할 수 있는 투자시장이 개발돼야 할 것이다. 다섯째는 국제경제 질서에 적극 참여하는 것이다.동북아 금융허브를 표방하면서 FTA 등 국제 무역 및 금융질서에 소극적일 수는 없다.실물시장의 개방은 물론 도하개발 아젠다에 따른 서비스분야의 개방에도 적극 참여하는 것이 궁극적으로는 국가경쟁력을 높이는 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쌀 개방 문제나 영화수입 쿼터제 등 이해관계가 복잡한 이슈들을 확고하게 처리하고 무역협정을 신속하게 추진해야 할 것이다. 총선후 우리의 경제과제는 산더미 같이 쌓여있다. 지금까지 우리의 정치 경제 사회의 병폐는 기본적으로 남에게 인색하고 나에게는 관대한 이기주의에서 비롯됐다고 볼수 있다.따라서 이제부터의 과제는 나에게 인색하고 남에게 관대한 균형의 질서를 확립해가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