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하반기 부동산펀드가 출시되더라도 기대만큼 활성화되지 못할 것이란 주장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부동산펀드의 조기 정착을 위해 제도 완화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22일 부동산114와 알투코리아부동산투자자문이 주최하고 한국경제신문사가 후원한 '제2회 부동산펀드 투자 및 평가기준 설정을 위한 국제세미나'에서 김대형 코람코 이사는 "현행 관련법에서는 부동산 투자상품의 편입자산 가치가 상승하더라도 이를 즉각 반영시키지 못하고 오히려 감가상각 처리하도록 하고 있다"고 말했다. 따라서 "일반 투자자들의 기대수익(연 8% 안팎)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펀드해지 전까지 자산가치 상승분을 유보하도록 하고 있는 규정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현석 건국대 교수는 "리츠시장은 대부분 사무용 빌딩에 편중돼 있어 투자대상 확대를 위한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일본 프리미어 리츠투자자문의 야스히코 아미노 이사는 "부동산펀드가 어느 정도 활성화된 일본에선 완공 이전 단계의 콘도 투자도 활발하다"고 설명했다. 토머스 양 JLL 이사는 "한국의 부동산 투자상품은 자산의 가치상승이나 하락에 따른 평가익(손)이 곧바로 반영되지 않고 있어 이 문제가 풀려야 부동산펀드가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재길 기자 ro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