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고위험 고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 사이에서 나스닥 레버리지 상장지수펀드(ETF)가 주목받고 있다. 수익률이 들쑥날쑥한 국내 지수형 ETF에 비해 꾸준히 높은 수익률을 내고 있기 때문이다. 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2014년부터 지난해 말까지 최근 10년간 코스피200 지수는 20.7%, 코스피200 레버리지 지수는 6.6% 상승했다. 같은 기간 코스닥150 지수는 29.2% 올랐지만 코스닥150 레버리지 지수는 오히려 21% 떨어졌다. 기초자산 하루 변동폭의 2배만큼 손익을 내는 레버리지 상품의 수익률이 기초지수보다 더 나쁜 성과를 낸 셈이다. 반면 나스닥100 지수가 최근 10년간 497.8% 상승하는 동안, 나스닥100 레버리지 지수는 2042.3% 급등해 일반 지수형 상품보다 4배 이상 높은 수익을 냈다. 대표지수와 이를 기초로 한 레버리지형 상품 수익률이 엇갈린 건 ‘기간 수익률’이 아니라 ‘일간 수익률’을 추종하는 레버리지 상품의 특성 때문이다. 기초지수와 ETF 가격을 모두 100이라고 가정했을 때 기초지수가 하루에 10% 오르고, 다음날 10% 떨어지면 일반 ETF의 수익률은 -1%가 된다. 100→110→99 순으로 ETF 가격이 바뀌기&n
고액 자산가들은 올해 코스피지수 약 5% 상승을 예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올 2~3분기를 국내 주식을 매수할 적기로 내다봤다. 2일 삼성증권에 따르면 이 증권사에 맡긴 자산이 30억원 이상인 SNI 이용자 341명을 대상으로 벌인 설문조사에서 자산가들은 올해 코스피지수가 평균 5.2%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SNI는 삼성증권의 고액 자산가 전담 브랜드다. 올해 코스피지수가 10% 이상 오를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약 51%였다. 지난해 응답률(약 80%)에 비해 낮아졌다. 국내 주식 매수 적기로는 38.5%가 2분기를, 30.4%는 3분기를 점찍었다. 1분기(20.5%), 4분기(10.6%)를 고른 이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자산가들은 국내 증시보다는 미국 증시의 상승 가능성이 더 클 것이라고 봤다. 미국 S&P500과 나스닥의 올해 상승률을 11.3%, 11.7%로 전망했다. 전체 응답자의 80% 이상이 두 지수가 각각 10% 이상 오를 것이라고 답했다. 30% 이상 뛸 것이라고 기대한 응답자도 5.3%, 3.5%씩 나왔다. 다만 환율이 미국 증시 투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응답이 많았다. 응답자 41%가 “환율 전망이 어려워 미국 주식 투자가 까다롭다"고 했다. 투자 유망 업종으로는 응답자의 38.2%가 인공지능(AI)·반도체를 꼽았다. 지난해(50.6%)에 비해 선택 비중이 줄었다. 대신 제약·바이오·헬스케어가 유망하다는 응답률은 작년 1.7%에서 올해 22.5%로 크게 올랐다. 방산·로봇(13.5%), 이차전지(6.2%), 자동차(5.1%), 미디어·콘텐츠·엔터테인먼트(4.5%) 등이 뒤를 이었다. 경기 방어주 성격인 인터넷·게임주, 면세·유통·화장품주를 가장 유망하다고 본 이들은 각각 3.9%씩에 그쳤다. 자산가들 중
교보증권은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을 탑재한 '퇴직연금 로보어드바이저'가 금융위원회 혁신금융서비스에 지정됐다고 2일 밝혔다.지난해 말부터 교보증권-교보DTS가 컨소시움을 구성해 코스콤 주관 제22차 로보어드바이저 테스트베드 심사를 통과하는 등 성과 및 보안성과 안정성 평가에서 입증을 받았다.이번 혁신금융서비스 지정으로 교보그룹 디지털 혁신을 향한 신사업부문의 그룹 계열사 간 협력이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올 상반기를 목표로 퇴직연금 제약요건과 미국 상장 ETF를 반영한 일임형 AI 퇴직연금 서비스를 출시해 연금시장을 공략한다는 계획이다.또 향후 고객 성향을 종합한 투자결과를 모니터링하고 빅데이터를 분석해 시장변화에 따른 투자성과가 극대화되도록 시스템을 구축할 방침이다.조성호 자산관리부문장은 "이번 혁신금융서비스 지정은 교보그룹 디지털 혁신 가속화의 한 축으로 AI 알고리즘을 활용한 최적의 시스템으로 연금시장에서 경쟁력을 끌어올릴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교보증권은 지난해 말 조직개편을 단행하고 WM사업본부와 IPS(Investment Product Service)본부를 통합 관리 및 운영하는 자산관리부문을 신설했다. 리테일 채널을 강화하고 디지털 고객층에게 새로운 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