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 정동영 의장이 당 체제를 정비한 후 사퇴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정 의장은 23일 기자간담회에서 "의장임기 2년을 다 채울 생각이 없다"고 밝혔다.
정 의장은 "이번 총선을 통해 거대 여당이 된만큼 이에 걸맞게 조직을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면서 "당체제가 정비되면 전당대회를 열고 사퇴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당 의장으로서의 책임과 의무를 마친 뒤 공식적인 절차를 거쳐 의장직에서 물러나겠다는 것이다.
현 지도부가 17대 총선을 위한 임시체제의 성격이 강했던 만큼 여대야소로 바뀐 새로운 정치환경에 걸맞게 새 지도부를 구성하겠다는 것이 정 의장의 생각이다.
문제는 전당대회 시기다.
당내에서는 대체로 7월쯤으로 예상하고 있다.
정 의장이 밝힌 '향후 20,30년 동안 지속될 제4세대 집권 정당모델개발'을 위한 당 체제 정비작업을 마무리하는데 2∼3개월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비작업이 늦어지면 사퇴시기는 정기국회 이후가 될 수도 있다.
정 의장이 사퇴한 뒤 그의 거취도 관심거리다.
당내 일각에선 정 의장이 '대권수업'의 일환으로 입각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총리 또는 통일부 장관을 맡아야 한다는 것.
10월로 예상되는 재·보선에 출마할 가능성도 열어놓고 있다.
물론 일각에서는 그가 총선기간 시달렸던 '노풍(老風)'에서 완전히 벗어나기 위해서는 일정 기간의 '잠복기'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하고 있다.
주요국 대사로 나가는 방안도 아이디어차원에서 거론된다.
이재창 기자 leej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