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앞으로 국내에서 출시되는 모든 휴대폰의 무선인터넷플랫폼은 위피(WIPI) 규격을 의무적으로 지원토록 미국과 합의했다고 23일 발표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 독자적으로 개발한 위피의 표준화를 둘러싼 한·미간 통상마찰이 해소될 전망이다. 최준영 정보통신부 정보통신정책국장은 이날 기자회견을 갖고 지난 21,22일 이틀 동안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한·미통신전문가회의에서 이같이 합의했다고 밝혔다. 최 국장은 "SK텔레콤LG텔레콤은 물론 KTF가 채택한 미국 퀄컴의 무선인터넷플랫폼 브루(BREW)에도 위피 규격 지원이 포함되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위피 규격을 지원하는 브루(WIPI on BREW)도 시장에서 유통될 수 있게 됐다. 정부는 무선인터넷 콘텐츠의 개발과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위피를 단일 플랫폼 표준으로 정하려 했으나 '브루'를 제공하고 있는 퀄컴과 미국의 강력한 항의를 받아왔다. 이번 합의로 다양한 종류의 무선인터넷플랫폼이 공존하게 됐지만 모든 플랫폼은 반드시 위피 규격을 지원하게 되므로 위피 기반의 콘텐츠 개발과 보급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태완 기자 tw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