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용천역 열차 폭발 참사] 향후 대북관계는..남북장관급회담 연기 시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2일 발생한 용천역 폭발사고로 북핵 문제와 남북 및 북·미관계에 적잖은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번 사고는 남북관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북한은 23일 오후 전화통지문을 보내 내달 4일부터 나흘간 평양에서 열릴 예정이던 제14차 남북장관급회담을 연기할 것임을 시사했다.
김령성 장관급회담 북측 단장은 이날 "남측이 탄핵정국으로 인해 비정상적인 사태가 지속되고 있다"며 "현재와 같은 상태에서 빨리 벗어나 이번 회담에 임해야 한다는 것이 원칙적 입장"이라고 주장했다.
전날까지 파주에서 개최된 제3차 남북청산결제 실무협의에서 합의서까지 도출했던 북측이 갑자기 이같은 입장을 전달해 온 것은 용천역에서 발생한 폭발사고와 관련된 것.
정부 당국자는 "북측의 상황추이를 지켜보면서 대처해 나갈 것"이라며 "이 시점에서 북측이 이런 입장을 밝힌 이유를 다각적으로 분석중"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정세현 통일부 장관은 "이번 사고가 북핵해결과 북한개방에 영향을 주지 않겠느냐"는 질문에 "북한이 사고를 수습한다고 핵문제 해결을 뒤로 미룬다든지 남북관계 일정을 조정한다든지 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오히려 북한은 현실적으로 긴박한 처지이기 때문에 지원을 신속히 받기 위해 대외협력에 더 적극적으로 나올 가능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북·미 관계도 당분간 답보상태를 면치 못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일각에선 미국의 인도적 지원이 이뤄지는 과정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북한이 체제 보호차원에서 폐쇄적인 조치를 취할 경우 대외개방이 지연될 것으로 보인다.
반면 미 국무부는 폭발사고 구호를 위한 인도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입장이어서 이번 사고를 계기로 미국과 북한간의 접촉이 늘고 긴장완화 분위기가 조성될 수도 있다.
정종호 기자 rumb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