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은 경기 침체→가동률 저하→매출 감소→자금난이라는 악순환에 시달리고 있다. 이에 따라 수출기업을 제외한 내수형 중소기업들은 경영난이 심화되고 있다. ◆ 14개월째 70% 밑도는 가동률 국내 산업의 평균가동률이 80%를 넘고 있지만 중소제조업체의 평균가동률은 여전히 60%대에 머무르고 있다. 기협중앙회가 중소제조업체 1천5백개를 대상으로 조사해 25일 발표한 '생산설비 평균가동률'을 보면 3월중 중소제조업의 평균가동률은 68.6%로 나타났다. 이는 전달(67.1%)에 비해서는 조업일수 증가와 수출 확대에 힘입어 1.5%포인트 상승한 것이지만 전년 같은 달과 비교하면 1.1%포인트 하락한 것이다. 또 지난해 2월 이후 14개월 연속 60%대에 머무르고 있다. 문제는 이같이 침체된 경기가 회복될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5월에도 중소기업의 체감경기가 부진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기협중앙회가 조사한 '5월 중 중소기업 경기전망'을 보면 업황전망 건강도지수(SBHI)는 92.3을 기록, 지난 2002년 11월 이후 1년7개월 동안 100 이하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 SBHI가 100을 넘으면 경기가 전달보다 좋아질 것으로 전망하는 업체가 더 많음을, 100을 밑돌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자금난도 심화되고 있다. 한기윤 기협중앙회 상무는 "회원사를 대상으로 자금 상태를 조사해 본 결과 전체의 49.5%는 금융기관을, 44.9%는 보증기관을 이용하기 곤란하다고 답했다"고 말했다. 한 상무는 "금융권이 중소기업 대출심사를 엄격히 하고 있는 데다 신용보증기관의 보증 규모도 축소돼 중소기업들의 자금조달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고 말했다. ◆ 경영난의 원인과 대책 중소기업 경영난의 원인은 한두 가지가 아니다. 가장 큰 요인은 내수 침체지만 여기에 원자재 가격 상승 및 구득난, 중국 제품 수입 증대, 업체간 과당경쟁, 인건비 상승, 판매대금 회수 지연 등이 겹치고 상승 효과까지 일으키면서 중소기업을 벼랑 끝으로 몰고 있다. 중소기업인들은 신용보증기관의 정부 출연금 추가 편성, 시중 금융회사의 대출금 만기 상환 연장 등이 가장 시급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최근 기협중앙회가 마련한 이헌재 경제부총리 초청 간담회에서도 중소기업인들은 "금융기관의 중소기업 대출 한도 축소와 과도한 담보 요구, 보증기관의 보증 규모 축소로 우량 중소기업까지 부도 위기를 맞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중소업계는 "우선 올해 신용보증기관의 정부 출연금 규모를 현행 6천1백억원에서 1조원 이상으로 늘려야 한다"고 건의했다. 은행을 이용하려고 해도 담보가 없고 신용도가 낮아 이용할 수 없는 기업이 많은 만큼 신용보증을 늘려야 자금난을 타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언오 삼성경제연구소 전무는 "대출금 회수와 같은 일괄적인 자금 압박은 가뜩이나 경영 의욕을 잃은 대다수 중소기업들을 폐업이나 사업 포기로 떠밀 수 있고 반대로 일괄적인 만기 연장은 산업계 전반의 부실을 키울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미 경쟁력을 상실해 회생이 불가능한 기업들은 구조조정을 해야 하지만 개별기업의 체질과 기술력 등을 신중하게 판단해 차별 대응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계주ㆍ문혜정 기자 leer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