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노동계가 6월 총력투쟁을 예고함에 따라 올해 임단협은 그 어느 때보다 뜨겁게 전개될 전망이다. 특히 민주노동당이 노동계 투쟁에 보조를 맞춘다는 방침이어서 올 노동계의 하투를 둘러싼 긴장도 고조되고 있다. 임단협의 또 다른 당사자들인 재계와 정부는 민노당과 노동계의 협력이 어느 정도까지 확대될지에 이목을 집중하고 있다. 정치권도 민노당이 원내에서 노동현안 관련법 개정을 추진할 방침을 밝힌 것과 관련, 그 파장을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 올해 임단협의 경우 비정규직 노동자 차별해소와 주5일제 도입,일자리만들기, 노조의 경영참여 등이 핵심현안이다. 이들 네 가지 현안을 둘러싼 노조와 사용자,노조와 정부간 이견은 여전히 큰 상태다. 비정규직 문제의 경우 노동계는 회사이익중 일부를 투자해 비정규직 차별해소에 이용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재계는 너무 비현실적이고 경영권 침해소지가 많다며 반발하고 있다. 7월1일부터 실시되는 주5일제 근무와 관련해서도 재계와 노동계는 연월차 휴가 조정 등 단체협상 지침을 놓고 갈등을 빚고 있다. 일부 노조가 주장하고 있는 '경영참여'에 대해서도 노사간 이견의 폭이 크다. 노동계는 일단 이들 현안해결을 위해 강도높은 투쟁을 예고하고 있다. 민노총 소속 17개 산별노조 가운데 보건의료노조가 사측과의 교섭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6월16일 파업에 돌입할 예정이다. 또 금속연맹과 자동차 제조 4사, 화학운송노조, 건설산업연맹, 화학섬유, 상호금융노조 등 민노총 소속 노조들도 차례로 투쟁일정을 잡고 있다. 문제는 이번 임단협에서 민노당이 노동계와 어느 정도 협력관계를 유지하는가이다. 현재까지 민노당은 민노총의 결정에 관여하지는 않되 민노총의 요구사항 중 타당성 있는 주장에 대해서는 법 제ㆍ개정 등 국회 내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는 방침이다. 민노당 정책에 부합된다면 원내 입법활동을 통한 지원과 함께 분규 현장을 직접 찾아 노사간 원만한 해법을 찾는 활동을 병행하는 것도 검토하겠다는 것. 이와 관련, 권영길 대표가 지난 24일 선대위 해단식에서 "의원들의 활동무대는 현장이 돼야 하며 노동자, 농민, 노점상들의 투쟁현장에서 함께 할 것"이라고 말해 원내와 현장활동을 동시에 강화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태명 기자 chihir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