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우(李廷雨)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장은 27일 "17대 총선에서 우리당이 승리한 것은 국민이 개혁을 계속해달라고 주문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이날 강원도 양양에서 열린 우리당 당선자 워크숍 강연에서 "이 시대의 역사적 과제는 개혁이지만 지금까지 제대로 개혁하지 못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개혁이냐 성장이냐를 놓고 싸움을 붙이는 사람도 있지만 개혁을 미루고 성장만 하면 열 걸음도 못 간다"며 97년 외환위기를 예로 든 뒤 "선진국도 성장을 하려고 끊임없이 개혁한다"고 개혁의 당위성을 강조했다. 이 위원장은 또 전날 워크숍에서 성장과 분배중 어디에 무게를 둘 것이냐의 문제가 토론된 것과 관련, "성장과 분배는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며 "10.29 부동산대책도 비싼 땅값을 낮춰 기업들의 투자여건을 개선하고, 빈부격차도 해소하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대책"이라고 주장했다. 이 위원장은 또 "우리 나라가 세계화 시대의 파도를 넘어 생존할 수 있느냐는것은 개방과 개혁의 양날개에 달렸다"며 "한나라당은 개방은 적극적이지만 개혁에는대단히 소극적이고, 민노당은 개혁에는 대단히 적극적이지만 개방엔 소극적"이라고주장하면서 "개방과 개혁이 참여정부가 나갈 방향이고, 우리당이 다른 당과 다른 점"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참여정부는 개혁성과 지방분권화, 장기주의(long-termism), 사회통합,원칙고수 등 5가지 점에서 역대정부와 차이가 난다"며 "이 성과는 시간을 두고 천천히 나타날 것이기 때문에 지금은 숱한 비난을 받고 있지만 나중에 가서는 참여정부만한 정부가 없을 것이라고 기록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김병준(金秉準)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장은 "촛불시위와 80년대의 민주화저항 등을 제외하고는 시민들이 권력의 주체가 된 적이 없다"며 "국정운영패턴을 수평적 네트워크 사회로 변화시키지 않으면 미래가 없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이어 "시민이 권력의 주인이 되지 못하고 지배의 대상, 통치의 대상이 되는 상황을 시민단체가 용납하지 않으며, 실제로 시민사회와 민간부분이 가버닝파워(governing power)를 발휘하고 있다"며 "촛불시위를 주도한 시민단체가 국회의원 수십명의 역할을 해냈다"고 평가했다. 성경륭(成炅隆) 국가균형발전위원장은 "사회 통합의 틀을 유지하면서 개혁을 이뤄내기 위해서는 많은 고민이 필요하다"며 "상대편에 앞서 자신부터 개혁했는지, 국민의 동의를 구했는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양양=연합뉴스) 고일환기자 koma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