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7년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 도시지역에서 '절대적 빈곤' 가구는 줄어든 반면 '상대적 빈곤' 가구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한국노동연구원이 내놓은 '가구주의 취업형태와 빈곤의 구조' 보고서에 따르면 99∼2003년 사이 비농촌지역 2천6백71가구의 총소득을 조사한 결과 '절대 빈곤율'(보건복지부가 정한 가구 구성원 수별 기초생계비에 못미치는 계층 비율)은 98년 25.4%에서 2002년 16.7%로 감소했다. 반면 같은 기간 총소득이 중위소득(1백명중 소득순위 50번째의 소득)의 50% 이하 계층 비율인 '상대적 빈곤율'은 98년 18.2%에서 2002년 20.1%로 늘었다. 가구 총소득이 중위소득의 50∼70%인 '상대빈곤 차상위층' 비율은 98년 11.9%에서 2002년 9.2%로 조금 줄었지만 '절대빈곤 차상위층' 비율보다 2배가량 높았다. 이와 함께 '상대적 빈곤 차상위계층'(중위소득의 50∼70%에 해당하는 계층)에 한 번이라도 포함된 적이 있는 가구는 △1회 14.1% △2회 7.7% △3회 5.6% △4회 4.2% △5회 6.6% 등 전체의 38.2%로 나타났다. 연구원측은 97년 외환위기 이후 경기가 회복되고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시행 등 사회안전망이 확충되면서 극빈층은 줄어들었지만 계층간 소득 불평등은 오히려 심화됐음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분석했다. 이상호 연구원은 "근로 능력이 있는 빈곤가구에 대해서는 일시적인 정부보조보다 장기적인 일자리를 제공하고, 만성 빈곤 가구에는 기초생활보장제 적용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태명 기자 chihir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