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과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6자회담 참가국들이 1차 북핵 6자 실무그룹회의를 다음 달 12일 열기로 합의함에 따라 지난 2월말 제2차 6자회담 개최후 두달여 소강상태를 보여온 북핵 논의가 탄력을받을 전망이다. '실무그룹회의 개최'는 2차 6자회담의 합의사항으로, 정부는 6월말 이전에 3차6자회담이 개최되려면 그 이전에 적어도 두 차례의 실무그룹회의가 열려야 한다는입장을 보여왔다. 정부 당국자는 29일 "당초 4월중에 실무그룹회의가 개최되기를 희망해왔으며 다소 늦은 감이 있다"며 "6월말 이전에 한번 더 열 수 있을 지는 현재로선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실무그룹회의 개최가 늦어진 것은 의제에 대한 관련국간 견해차 때문으로 북한은 '핵동결 대 보상' 조치가 가시화돼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미국 등은 이에 강한거부감을 보여온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지난 19∼21일 중국을 비공식 방문하면서 실무그룹개최 논의가 급진전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김 위원장은 중국 지도부에게 "인내심과 신축성을 갖고 6자회담 과정에 적극 참여하겠다. 회담 진전을 위해 기여하겠다"고 밝혀 사실상 이 때 중국과 북한간에 실무그룹회의 개최 시기가 정해진 것으로 관측된다. "중국측에서 '5월12일 실무그룹회의를 개최하자'고 제의해왔다"는 외교부 관계자의 전언도 이러한 관측을 뒷받침하는 대목이다. 이번 실무그룹회의의 의제가 특정되지 않은 점도 눈여겨 볼만 하다. 일단 명칭은 실무그룹회의지만, 지난 2차 6자회담이 핵심쟁점에 대한 아무런 결론을 내리지 못한 채 종료됐다는 점에서 난상토론이 벌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2차 6자회담이 최대쟁점이었던 북한의 고농축우라늄(HEU) 존재 인정문제를 비롯, 그간 미국이 주장해온 CVID(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핵폐기'의개념 규정을 놓고 미국과 북한간에 치열한 공방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미국은 지난 2월초부터 3개월간 확보해온 압둘 카디르 칸 박사 파일을 들이대며 'HEU 핵프로그램의 존재를 인정하라'며 대북 압박의 강도를 높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여 이에 대한 북한의 대응이 주목된다. 이달초 뉴욕타임스(NYT)는 칸 박사가 "북한의 핵무기 장치 3개를 목격했고 HEU프로그램용 원심분리기 설계도와 소수의 소형 완제품 원심분리기를 북한으로 선적했다"고 증언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또 지난 2차 6자회담에서 의장성명 채택과정에서 '완전한'(complete) 핵폐기와HEU의 포함을 주장하며 절충안으로 제시된 '모든'(all), '포괄적인'(comprehensive)이라는 표현을 거부했던 미국은 이번 실무그룹회의에서도 이 원칙을 강하게 주장할것으로 관측된다. '핵동결 대 상응조치'에 대한 논의도 관심을 끄는 대목이다. 이에 대해 지난 2차 6자회담에서 한국과 중국, 러시아는 북한이 궁극적인 핵폐기를 전제로 최단기간내에 핵동결을 실시하고 국제사회의 핵사찰을 수용한다면 대북에너지 지원을 할 수 있다는 의지를 피력한 바 있다. 그러나 미국은 완전한 핵폐기는 북한의 고유 의무이며 그런 절차가 있은 다음에야 보상으로서 중유 등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북한이 주장한 평화적 핵활동 보장의 범위에 대해 한국.미국.일본 등 3국은 신뢰가 쌓이면 의료와 농업용 핵활동은 당연히 보장하되 영변의 흑연감속로는 이 범위에 포함될 수 없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전력생산 목적의 북한 신포지역 경수로 사업에 대해서는 한.미.일 3국이 공동의 입장을 정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연합뉴스) 추승호 인교준 기자 chu@yna.co.kr kjihn@yna.co.kr